통계집

개요
1. 목적
○ 국내외 생명공학 관련 기존 통계정보 총괄 수집 및 체계적 정리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기초통계의 지속적 갱신
- 분산되어 있는 생명공학 관련 통계자료의 수집과 갱신
○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통계DB 구축의 공감대 형성
- 생명공학 통계DB 구축은 바이오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에 제시된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5개의 분야(예산투자, 인프라, 인력, 논문 및 특허, 산업)로 분류
목차
제1부. 생명공학 기초통계 개요
1. 목적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4. 활용 및 파급효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성과와 전망
1.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94∼'06)의 성과
2.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의 전망
제3부. 세부분야별 생명공학 기초통계
1. 예산투자
2. 인프라
3. 인력
4. 논문 및 특허
5. 산업
제4부. 생명공학분야 분류기준
1. OECD의 기술・산업분류
2. 국내 생명공학분야 학문・학과분류
3. 국내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4. 국내 생명공학분야 산업분류
5. 국내 생명공학분야 특허분류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