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집

개요
1. 목적
○ 국내외 생명공학 관련 기존 통계정보 총괄 수집 및 체계적 정리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기초통계의 지속적 갱신
‑ 분산되어 있는 생명공학 관련 통계자료의 수집과 갱신
○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통계DB 구축의 공감대 형성
‑ 생명공학 통계DB 구축은 바이오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에 제시된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5개의 분야
(예산투자, 인프라, 인력, 논문 및 특허, 산업)로 분류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에 제시된 주요통계를 기초로 매년 3월에 확정되는 시행계획상의 통계를 연계·반영하여 작성
○ 원천통계 출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명공학관련통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
‑ 정부부처
‑ 출연(연) 및 관련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한국특허정보원, 산업연구원, 한국바이오산업협회, 한국바이오벤처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등)
‑ 해외기관 자료(OECD, Ernst & Young)......계속
목차
제1부. 생명공학 기초통계 개요
1. 목적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4. 활용 및 파급효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성과와 전망
1.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의 전망
2. 2008년 생명공학 주요성과
제3부. 세부분야별 생명공학 기초통계
1. 예산투자
2. 부처별 사업현황
3. 인력
4. 논문 및 특허
5. 산업
제4부. 생명공학분야 분류기준
1. OECD의 기술・산업분류
2. 국내 생명공학분야 학문・학과분류
3. 국내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4. 국내 생명공학분야 산업분류
5. 국내 생명공학분야 특허분류
-
이전글
- 2010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
-
다음글
- 2008년 생명공학 기초통계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