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계집

2011년 생명공학기초통계

2011년 생명공학기초통계

  • 발행일 2011-11-10
  • 출처 통계 2011-2(총서 제162권)
  • 담당자 문성훈 ( 042-879-8372 / shnb8@kribb.re.kr )
  • 조회수 13191
  • 키워드
    #통계
  • 첨부파일

개요

1. 목적
○ 국내외 생명공학 관련 기존 통계정보 총괄 수집 및 체계적 정리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기초통계의 지속적 갱신
‑ 분산되어 있는 생명공학 관련 통계자료의 수집과 갱신


○ BT 분야 통계DB 구축 및 대표적인 3T(BT, IT, NT) 비교·분석
‑ 주요 3대 Technology(BT, IT, NT) 통계 비교를 통한 포지셔닝 파악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에 제시된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5개의 분야
(예산투자, 인프라, 인력, 논문 및 특허, 산업)로 분류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ʼ07∼ʼ16)에 제시된 주요통계를 기초로 2011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상의 통계를 연계·반영하여 작성
○ 원천통계 출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명공학관련통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
‑ 정부부처
‑ 출연(연) 및 관련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한국특허정보원, 산업연구원,한국바이오산업협회,한국바이오벤처협회,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등)
‑ 해외기관 자료(OECD, Ernst & Young)
※ 정부부처의 경우, ʼ08년 신정부의 출범과 함께 정부조직개편이 이루어졌으나, 본 통계집은 ʼ07년도의 성과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것으로 기존의 조직체계에 따라 작성되며, 개편된 조직체계는 내년도부터 반영될 것임

 

............................계속

 

 

목차

제1부. 생명공학 기초통계 개요

1. 목적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4. 활용 및 파급효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2010년도 성과

1.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ʼ07~ʼ16) 개요

2. 2010년 생명공학 주요성과

 

제3부. 과학기술 일반통계

1. 과학기술 투자

2. 과학기술 인력

3. 과학기술 성과 (논문 및 특허)

 

제4부. 세부분야별 생명공학 기초통계

1. 예산투자

2. 시설 및 인프라

3. 인력 양성

4. 논문 및 특허

5. 산업

 

제5부. 3T(BT, IT, NT) 기초통계 비교

1. 3T 투자

2. 3T 인력

3. 3T 성과 (논문 및 특허)

 

제6부. 생명공학분야 분류기준

1. OECD의 기술・산업분류

2. 국내 생명공학분야 학문・학과분류

3. 국내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4. 국내 생명공학분야 산업분류

5. 국내 생명공학분야 특허분류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