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계집

2012년 생명공학 기초통계

2012년 생명공학 기초통계

  • 발행일 2012-11-16
  • 출처 통계2012-1(총서 제191권)
  • 담당자 박성호 ( 042-879-8364 / psh16@kribb.re.kr )
  • 조회수 14658
  • 키워드
    #통계
  • 첨부파일

개요

1. 목적
○ 국내외 생명공학 관련 기존 통계정보 총괄 수집 및 체계적 정리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상의 기초통계의 지속적 갱신
‑ 분산되어 있는 생명공학 관련 통계자료의 수집과 갱신
○ BT 분야 통계 DB 구축 및 대표적인 3T(BT, IT, NT) 비교·분석
‑ 주요 3대 Technology(BT, IT, NT) 통계 비교를 통한 포지셔닝 파악
‑ BT 분야에 대한 통계 DB 구축의 공감대 형성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에 제시된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5개의 분야(예산투자, 인프라, 인력, 논문 및 특허, 산업)로 분류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ʼ07∼ʼ16)에 제시된 주요통계를 기초로 2012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상의 통계를 연계·반영하여 작성
○ 원천통계 출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명공학관련통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
‑ 정부부처
‑ 출연(연) 및 관련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한국특허정보원, 산업연구원, 한국바이오산업협회, 한국바이오벤처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등)
‑ 해외기관 자료(OECD).........................계속

 

 

2012년 11월 19일 오전9시부터  선착순 책자 신청하러가기 (클릭!)


 

목차

제1부. 생명공학 기초통계 개요
   1. 목적
   2. 통계자료의 분류체계
   3. 통계자료의 수집과 작성기준
   4. 활용 및 파급효과

 

제2부.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성과와 전망
   1.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계 계획(ʼ12~ʼ16) 개요
   2. 2011년 생명공학 주요성과

 

제3부. 과학기술 일반통계
   1. 과학기술 투자
   2. 과학기술 인력
   3. 과학기술 성과 (논문 및 특허)

 

제4부. 세부분야별 생명공학 기초통계
   1. 예산투자
   2. 시설 및 인프라
   3. 인력 양성
   4. 논문 및 특허
   5. 산업


제5부. 3T 기초통계 비교
   1. 3T 투자
   2. 3T 인력
   3. 3T 성과(논문 및 특허)

 

제6부. 생명공학분야 분류기준
   1. OECD의 기술・산업분류
   2. 국내 생명공학분야 학문・학과분류
   3. 국내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4. 국내 생명공학분야 산업분류
   5. 국내 생명공학분야 특허분류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