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과학벨트 신동 둔곡거점지구 실시계획 승인
- 등록일2014-12-02
- 조회수3632
-
발간일
2014-12-02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벨트
- 첨부파일
과학벨트 신동 둔곡거점지구 실시계획 승인
-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 실시계획」확정, 토지보상을 시작으로 개발 착수 -
- 중이온가속기 부지 952천㎡확정, ’16년말 착공하여 21년까지 완공-
- 첨단산업·연구(1,242㎡), 정주환경(227㎡)을 갖춘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 조성-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는『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 실시계획』을 12. 1(월) 일자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 이에 따라, 지난해 미래부-대전시 업무협약(’13.7월)으로 정상화된 과학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 조성사업은 중앙부처/지자체 등의 모든 행정 및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여 토지보상 등 지구개발에 착수할 수 있게 되었다.
? 또한, 그간 부지문제로 사업추진이 부진했던 중이온가속기 건립사업도 부지(952천㎡)를 최종 확정하고 과학벨트 핵심 대형 기초연구시설로서 장치제작·구축과 시설건립 사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 이번 실시계획 승인은 개발제한구역 해제(’14.7, 국토부), 개발계획변경(’14.9, 미래부) 내용을 기준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거점지구 조성은 사업시행자인 LH공사가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하며 개발 면적은 3,445천㎡(신동 1,643천㎡, 둔곡 1,802천㎡)이다.
? 중이온가속기 952천㎡(27.64%), 산업시설용지 1,242천㎡(36.05%), 공원·녹지 447천㎡(12.99%), 주거·근린생활용지 212천㎡(6.16%), 상업·업무용지 64천㎡(1.88%), 공공시설용지 487천㎡(14.16%) 등이 공급되며,
? 정주인구는 6,240명, 주택규모는 2,466세대(공동주택 2,136세대 단독주택 330세대)로 계획되어 조성된다.
□ 앞으로,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는 2015년초 토지보상을 시작으로 개발이 착수되면 2015년 착공하여 2019년까지 거점지구 조성공사가 완료될 예정이다.
? 미래부, 대전시, LH공사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국제적 정주환경을 갖춘 세계적 과학기반 혁신클러스터로 발전되도록, 첨단기업연구소·교육·의료·주거·문화시설 등의 유치를 본격화 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미래부는 과학벨트 핵심기초연구시설로서 중이온가속기를 신동지구 부지 사용이 가능한 2016년 착공하여 2021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희귀동위원소빔을 제공하는 가속기를 완공시킬 계획이다.
? 중이온가속기가 완공되면 중이온가속기를 활용한 핵물리, 물성과학, 의생명 등 국내외 글로벌 인재들이 함께 모여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초과학 수준을 한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