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5년도 보건복지부 예산 53조 4,725억원으로 최종 확정

  • 등록일2014-12-04
  • 조회수3848
  • 발간일
    2014-12-03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 예산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_2015년도_보건복지부_예산_53조_4,725억원으로_... (다운로드 24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년도 보건복지부 예산 53조 4,725억원으로 최종 확정

- 정부안 51조 9,368억원 대비 1조 5,357억원 순증 -

 

2014년 12월2일(화) 국회에서 통과된 2015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은 정부안 대비 1조 5,445억원이 증액(69개 사업)되고, △88억원이 감액(8개 사업)되어 1조 5,357억원이 순증됨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총지출 규모는 금년 예산(46조 8,995억원) 대비 6조 5,730억원(14.0%)이 증가한 53조 4,725억원으로 확정되었음

예산은 2014년 대비 3조 7,595억원(12.8%) 증가한 33조 2,300억원,

기금은 2014년 대비 2조 8,135억원(16.1%) 증가한 20조 2,425억원임

 

<2015년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14년 예산(A) ‘15년 정부안(B) ‘15년 확정 (C) 정부안 대비 ’14년 대비
(C-B) % (C-A) %
총 지 출(A+B) 468,995 519,368 534,725 15,357 3.0 65,730 14.0
예 산(A) 294,705 317,154 332,300 15,146 4.8 37,595 12.8
일반회계 292,416 312,172 327,237 15,065 4.8 34,821 11.9
특별회계 2,289 4,982 5,063 81 1.6 2,774 121.2
기 금(B) 174,290 202,214 202,425 211 0.1 28,135 16.1
국민건강증진기금 20,030 27,189 27,357 168 0.6 7,327 36.6
국민연금기금 152,187 172,760 172,775 15 0.0 20,588 13.5
응급의료기금 2,073 2,265 2,293 28 1.2 220 10.6

 

국회에서 확정된 예산의 가장 큰 특징은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복지 및 의료지원 확대라 볼 수 있음

 

국회 증감 내역 및 주요 사업

증감 내역 : 순증 1조 5,357억원(증액 1조 5,445억원, 감액 △88억원)

예산 : 증액 1조 5,181억원, 감액 △35억원

기금 : 증액 264억원, 감액 △52억원

* (건강증진기금) 증액 221억원, 감액 △52억원, (국민연금기금) 증액 15억원, (응급의료기금) 증액 29억원

 

주요 증액사업

생계급여 +652억원, 의료급여 +214억원, 주거급여 +1조 1,073억원, 교육급여 +1,353억원, 해산장제급여 +1.6억원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에 따른 지원 대상 확대 반영

장애인거주시설운영지원 +195억원 ⇒ 지원단가 인상(24.7→25.9백만원)

경로당냉·난방비 +298억원

노인일자리운영 +117억원 ⇒ 재능활용형 일자리 참여기간 확대(3→6개월, 107억원), 대한노인회취업지원센터 2.4억원, 전담인력처우개선 7.7억원

노인건강관리 +39억원 ⇒ 치매관리 11억원, 노인실명예방 8억원, 인공관절수술비 20억원(신규)

영유아보육료지원 +470억원 ⇒ 보육료 인상(3%, 450억원) 및 맞춤형 보육지원 개편 시범사업(20억원)

어린이집지원 +284억원 ⇒ 교사근무환경개선비 인상(월15→17만원, 179억원) 및 교사겸직원장지원비(월7.5만원, 105억원) 반영

고위험산모·신생아지원 +15억원, 고위험임산부 의료비지원 +41억원(신규),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50억원

암환자의료비 지원 +30억원, 희귀난치성유전질환자 지원 +33억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20억원

※ 아동학대 예방 +83억원(범죄피해자보호기금 및 복권기금) ⇒ 지역아동보호전문기관 +47억원, 학대피해아동쉼터 +33억원,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4억원

 

주요 감액사업

공익제보자신고포상금 △2억원, 뷰티산업선진화 △4.25억원, 100세사회 대응 고령친화제품R&D △14억원, 제약산업 육성지원 △5억원,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국민인식개선 △5억원, 원격의료제도화기반구축 △6.4억원, 의료시스템수출지원 △5억원, 국가금연지원서비스 △46억원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