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한중 과학기술연구 전략적 협력 강화
- 등록일2014-12-10
- 조회수3517
-
발간일
2014-12-09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한중 과학기술연구
- 첨부파일
한·중이 손잡고 연구성과 실용화 나선다.
- 대형 실용화 합작 연구,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추진 -
□ 한·중 양국은 그간 양국 정상회담에서 강조한 과학기술 분야 ‘대형 실용화 합작 연구개발’을 추진하고,‘공공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o 미래창조과학부 이석준 제1차관은 어제(12. 8) 오후, 서울 힐튼 호텔에서 중국 과학기술부 차오 지엔린(CAO Jian Lin) 차관과 제12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를 개최하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양해각서(MoU)는 12월 중순경 양국 장관이 만나 체결할 예정이다.
□ (대형 실용화 합작 연구개발) 양국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22년간 이어온 과학기술협력 전통이 실질적인 연구개발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형 실용화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o 양국이 고민하고 있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개발을 위해‘15년부터 양국 공통 사회문제 도출을 위한 과제 수요조사와 공모를 완료하고 상호 협의를 통해 과제를 선정하기로 하였다
o 그간 양국간 공동연구가 과제당 3년간 4억원 수준이던 것을 과제당 연간 20억~30억(공동 분담) 규모로 대형화하고, 연구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 (전문기관간 기술사업화 협력) 한중 양국은 또한 실용화 전문기관인 한국의‘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 김차동)과 중국의‘화거하이테크개발센터’간에 상호 기술사업화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o 중국의 화거하이테크개발센터는 중국 과기부 산하 첨단기술 산업화 연구 담당기관으로 중국 연구개발(R&D)투자의 2/3를 차지하고 54개 산업단지와 40여개의 기술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 첨단기술 성과의 상품화, 기술혁신펀드 운영, 과학기술형 기업 인큐베이터 운영, 과학기술 벤처투자 등을 수행하는 곳이다.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국내 41개 공공연구기관, 25개 대학, 2779개 기업이 참여하는 4개 연구개발특구(대덕, 대구, 광주, 부산)를 관장. 연구성과 사업화(기술사업화 기반조성, 기술이전,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벤처생태계 조성(첨단기술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경영마케팅 지원),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 수행
o 양국은 두 기관간 기술찾기 박람회, 기술창업 벤처캐피털 알선,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등을 시작으로 창조경제 글로벌화를 위한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o 이차관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공공연구기관들이 보유한 첨단 기술이 막대하지만 이의 실용화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의 경험과 노우하우를 동원하면, 양국 모두 윈윈하는 협력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한중 과학기술협력 강화)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양국 정상회담과 지난 10월 ITU전권회의에서 자우허우린(趙厚麟) 사무총장과 이재섭 표준화총국장 선출, 지난 11월 자유무역협정(FTA)의 실질적 타결선언 등을 계기로 양국간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시킬 계획이다.
o 중국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첨단기술산업화를 국정 아젠다로 추진하는 과학기술 드라이브 정책으로 세계1위 연구개발(R&D) 인력, 연구개발 투자 세계2위, 연간 과학인용색인(SCI) 논문 세계2위(‘13년 OECD Technology & Industry Scoreborad) 국가다.
o 중국은 우주분야에서‘12.6월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9호’가 우주정거장 텐궁(天宮) 1호와 도킹과 무인탐사선 달 착륙에 성공했고, ’13년에는 독자적인 발사체를 이용해 화성탐사선을 발사하기도 했고, 해양분야에서 ‘12.6월 독자기술로 제작한 유인잠수정(蛟龍호)은 지구에서 가장 깊은 잠항에 성공하여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우주, 해양 등 거대과학 뿐 아니라 알리바바, 샤오미, 바이두 등 정보통신(ICT)기업은 중국인 뿐 아니라 세계인의 생활을 바꾸고 있다.
□ (기타 과학기술협력 의제) 한중 양국은 ‘92. 9월 한중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한 이래, 공동연구와 신진과학자 및 기술조사단 교류 등 인력교류사업, 원자력·핵융합연구, 중이온 가속기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차기 회의) 양국 차관은 과학기술이 경제성장을 창출하는 핵심동력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향후 전략적인 과학기술 협력을 더욱 확대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차기 제13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는 2016년 중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