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13년도 우리나라 과학기술논문(SCI) 분석 결과

  • 등록일2014-12-22
  • 조회수3471
  • 발간일
    2014-12-19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논문#SCI
  • 첨부파일

 

우리나라 SCI 논문수(49,374→51,051), 1편당 피인용 횟수(4.31→4.55) 상승

- 재료과학(3위), 공학(4위) 등 10개 분야 세계상위 10위권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2013년도 우리나라 전체「과학기술논문(SCI)」을 분석*한 결과, 5년 주기(‘09∼’13)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4.55회로 전 주기(‘08∼’12) 4.31회 보다 5.57% 증가하여 점진적으로 세계평균에 접근**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술논문인용색인인 SCI(Science Citation Index)의 InCites (National Comparisons) DB*를 분석[분석기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 75.05%(‘05∼’09) → 85.53%(‘09∼’13) : 세계평균 대비 우리나라의 피인용 횟수 비율로 100%일 경우 세계평균과 동일

 

□ 동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3년도 세계 총 논문수는 1,401,663편이고, 우리나라의 SCI게재 논문수는 51,051편으로 ’12년(49,374편) 대비 3.40% 상승하였으며, 이중 세계 상위 10위권에 22개 표준분야 중 10개* 분야가 진입하였다.

* 재료과학(3위), 공학(4위), 컴퓨터과학(5위), 화학(8위), 약리학(8위), 농학(9위), 미생물학(9위), 생물학/생화학(10위), 임상의학 (10위), 물리학(10위) [상세내용 붙임 1번 참조]

※ 국가별 과학기술지표인 InCites DB : 미국의 민간 학술정보 전문기관(Thomson Reuters)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과학기술분야(사회과학 포함) 학술지를 엄선하고 동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정보와 해당 논문에 대한 인용정보 등을 DB화하여 제공하는 자료 중 국가별·분야별 발표 논문수와 피인용도에 관한 통계자료 수록

 

□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4.01.01~2014.08.31) 연도별 피인용수 세계 상위 1%인 고인용 논문(HCP; Highly Cited Papers)은 2004년 149편에서 2013년 451편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논문 점유율 또한 4.81%에서 14.55%로 9.74% 증가하였다.

○ 최근 10년간 국가별 순위는 미국이 64,132편으로 가장 높으며, 영국(20,139편), 독일(14,603편), 중국(13,005편), 프랑스(9,592편), 캐나다(9,265편), 이탈리아(7,129편) 등의 순이며, 우리나라는 3,100편으로 15위를 차지하였다. [상세내용 붙임 3번 참조]

 

□ 연구주체별 비중은 대학 73.04%, 정부ㆍ출연기관 16.37%, 기업ㆍ민간연구기관 9.89%로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 ‘13년도 연구주체간 협력 논문수는 대학과 대학간의 협력 논문수가 7,507편(43.85%)으로 가장 많으며 정부ㆍ출연기관간은 136편(0.79%), 기업ㆍ민간연구기관간은 66편(0.39%), 대학-정부ㆍ출연기관은 5,563편(32.49%), 대학-기업ㆍ민간연구기관은 3,733편(21.80%) 으로 연구주체간 협력도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협력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 2013년도 우리나라 지역별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8도, 1특별자치도) 논문수를 가장 많이 발표한 지역은 서울특별시(26,073편)이며, 우리나라 전체 논문수 대비 점유율은 서울특별시(50.83%), 경기도(21.83%), 대전광역시(15.62%), 부산광역시(7.20%), 경상북도(7.04%)의 순이다.

○ 최근 10년간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경상북도(10.05회), 서울특별시(9.41회), 광주광역시(9.28회), 대전광역시(8.79회), 대구광역시(8.47회) 순으로 나타났다.

○ 또한 지역별 연구주체별 점유율은 전반적으로 대학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대전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북도는 정부·출연기관의 점유율이 높고, 경기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울산광역시는 기업·민간연구기관의 논문 점유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상세내용 붙임 4번 참조]

 

□ 2013년 한 해 동안 해외 1개 기관이상 참여한 해외 협력 논문수는 우리나라 전체 논문수의 29.29%(15,023편)로 총 128개국 연구자들과 공동협력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국가별로는 미국이 7,698편(51.24%)으로 가장 많고, 중국(2,141편/14.25%), 일본(2,060편/13.71%), 독일과 인도(1,097편/7.30%)의 순이다. [상세내용 붙임 5번 참조]

 

 

붙 임 1. 2013년 표준분야별 논문수 순위 Top 10 
      2. 논문 발표수 상위 30개 국가 
      3. 최근 10년간 국가별 HCP 논문 현황
      4. 2013년 지역별 논문 발표수 및 논문 점유율 현황
      5. 2013년 우리나라의 해외 협력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

 

별 첨 : 2013년도 과학기술논문(SCI) 분석 결과(요약)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