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15년도 과학기술·ICT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등록일2015-01-05
- 조회수3220
-
발간일
2015-01-05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분야
- 첨부파일
미래부,‘15년 과학기술·ICT 분야 R&D 3조 9,520억원에 대한 종합시행계획 확정
- 기초연구, 기술개발, 사업화·표준화, 기반조성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로 R&D를 통한 국민행복 실현 및 경제 재도약에 기여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015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주요 연구개발(R&D) 사업에 총 3조 9,520억원(전년대비 7.9% 증가)을 투자하는 「2015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ㅇ 동 종합시행계획은 미래부 전체 R&D 예산 6조 5,138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한 것으로, 과학기술 분야 2조 9,037억원, ICT 분야 1조 483억원에 대한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종합시행계획 대상 사업>
사업별 분류 |
‘14년(억원) |
‘15년(억원) |
증감 |
세부사업 |
기초연구 |
6,967 |
7,443 |
6.8% |
개인연구(신진,중견,리더),집단연구 지원 등 |
원천기술개발 |
4,854 |
5,620 |
16.3% |
바이오·의료, 나노·소재, 첨단융합기술개발 등 |
우주기술개발 |
3,179 |
3,738 |
18.0% |
인공위성개발, 한국형발사체 등 |
원자력연구개발 |
2,920 |
3,146 |
7.7% |
원자력, 방사선 연구개발사업 등 |
핵융합?가속기연구지원 |
2,369 |
2,281 |
△3.7% |
가속기, ITER 공동개발 등 |
과학기술국제화 |
541 |
558 |
3.1% |
국가간 협력기반 조성 등 |
과학기술 인력양성 |
457 |
513 |
12.4% |
국제인력교류, 여성과학기술인 지원 등 |
산학연협력·실용화·기술사업화 |
1,187 |
1,333 |
12.3% |
산학연협력활성화, 기술사업화 지원 등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
4,117 |
4,405 |
7.0%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기초과학연구원 운영 |
ICT 기술개발 |
7,226 |
7,723 |
4.4% |
10대 기술분야, 창조비타민 등 |
ICT 표준화 |
278 |
284 |
2.3% |
정보통신표준화, 표준화 활동지원 등 |
ICT 인력양성 |
1,004 |
1,037 |
3.3% |
정보통신기술인력, SW전문인력 양성 등 |
ICT 기반조성 |
1,532 |
1,439 |
△6.1% |
연구장비, 지역ICT산업 지원 등 |
총 계 |
36,631 |
39,520 |
7.9% |
|
□ 특히, 올해는 미래부 출범 3년째를 맞아, 기존에 과학기술, ICT 분야에서 각각 R&D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하던 것을 ‘15년부터 통합 수립하여 발표함으로써, 관련 연구자와 기업 등이 미래부 R&D사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편의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ㅇ 또한, ’15년 예산안이 ‘14년 12월초 확정됨에 따라 매년 1월 중순에서 2월 경 발표해오던 종합시행계획을 한 달 여 앞당겨 수립함으로써, 새해 시작과 함께 '15년도 R&D사업 착수가 가능해졌다.
<‘15년 R&D사업 종합시행계획 개요>
◆ 비전: 과학기술·ICT R&D를 통한 국민행복 증진 및 경제 재도약
◆ 기본방향
-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한 과학기술 및 ICT 분야의 혁신적·전략적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R&D 성과 확산을 강화
- 과학기술·ICT 기반의 신시장·신산업 창출 가속화를 위해 기술개발-사업화-인력양성-기반조성 등 R&D 전주기 연계 및 투자 강화
◆ 부문별 총 투자액: (기초연구) 7,443억원, (기술개발) 2조 2,508억원, (사업화·표준화) 1,617억원, (인력양성) 1,550억원, (기반조성) 6,402억원
□ 「2015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