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산업부,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본격 추진

  • 등록일2015-01-06
  • 조회수3255
  • 발간일
    2015-01-06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엔진
  • 첨부파일
    • hwp 0106 (7일조간) 산업기술개발과, 산업엔진 프로젝트 본격 추진.... (다운로드 31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산업부,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본격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직)(이하 산업부)는 올해 미래 먹거리인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이를 위해 관련 예산 4,495억원을 확보하여 기술개발 및 산업생태계 조성에 각각 2,548억원, 1,94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주요 산업엔진 프로젝트 투자방향 >

 

프로젝트명

투자방향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기술개발) 탄소섬유복합제 가공시스템 원천기술

?(산업생태계) 첨단 하이브리드 가공기술 고도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기술개발) 개인 건강정보 통합·분석을 위한 플랫폼 개발

?(산업생태계) 의료정보교류 국가표준 및 국제표준안 개발

스마트 바이오 생산시스템

?(기술개발) 세포치료제 자동생산 시스템 개발

?(산업생태계) 품질보증 교육, 애로기술 현장지원

탄소소재(플라스틱 기반 수송기기용 화학 소재)

?(기술개발) 자동차 플라스틱 복합소재 개발

?(산업생태계) 신뢰성 향상 기반구축, 선진 해외연구기관과의 국제협력체계 구축

 

□ 또한, 산업부는 중장기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자율주행 자동차 등 산업엔진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안정적인 예산을 확보할 예정이다.

 

ㅇ ‘14년 상반기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직류 송배전 시스템 등은 올해 초에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이며 지난해 하반기에 신청한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등 4개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충실하게 예비타당성 조사에 대응할 방침이다.

 

□ 그리고, 산업부는 산업엔진 프로젝트 추진과정에서 파생된 중간성과를 활용하여 현재 시장수요가 있는 분야의 상용화 및 제품화를 조기에 할 수 있도록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즉시 착수하고,

 

* (예시1) ‘15년까지 플라스틱 승용완구용 전동차 출시 후 ’22년까지 플라스틱 상용자동차 제품 출시

* (예시2) ‘17년까지 원양 어군탐지기 무인기 우선 개발 후 ’23년까지 고속-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

 

ㅇ 융합 신제품의 조기 사업화에 걸림돌을 제거하기 위해 신속한 인증, 각종 규제해소 등 13대 분야를 종합한 제도 개선방안도 도출할 예정이다.

 

□ 아울러 본격적인 산업엔진 프로젝트의 실행을 위해 올해 상반기까지 프로젝트별 추진단을 사업단으로 전환*하는 등 추진 체계를 정비하고,

 

*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산업부 단독으로 추진 중인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등 7개에 대해서는 사업단 전환 검토(1월) 후 출범 예정(상반기)

 

ㅇ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회 구성 등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 한편, 산업부는 1.6일 기계업계 신년인사회에서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첨단소재 가공시스템에 대한 추진방향 발표 및 의견수렴을 시작으로 다른 산업엔진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 실행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 (주요일정)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1.8일, 탄소소재(수송기기용 플라스틱 소재) 1.9일,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1.20일 예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