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활성화되는 국제공동 R&D
- 등록일2015-01-13
- 조회수3000
-
발간일
2015-01-13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R&D
- 첨부파일
활성화되는 국제공동 R&D
- 독일, 프랑스, 중국 등 전략적 국가와의 공동 R&D로 해외시장 진출 지원
- 산업부,‘15년 국제공동 기술개발에 515억원 지원
□ 글로벌 R&D협력을 통한 우리 기업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촉진하기 위한 ‘산업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의 지원방식이 보다 효율화되고 다양해진다.
ㅇ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직)은 1.14(수) ‘15년 515억원(신규 159억원)이 투입되는 국제공동연구사업의 세부 지원내용을 확정·발표했다.
□ 금년에는 양국 정부가 공동으로 펀딩하는 국제공동 R&D 사업이 대폭 확대된다.
* 공동펀딩형 R&D 비중 및 예산 : ‘14년 28% 137억원, ’15년 39% 203억원
ㅇ 해외 정부와의 공동펀딩형 지원 확대는 우리나라의 기술력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 해외 국가와의 공동 R&D는 국내 기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거나 향후 추가적인 국제협력 활동을 추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ㅇ 작년 대통령 외국방문시 MOU를 체결한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과 양자 펀드를 새로이 조성하는 등 ‘15년에는 5개국*과 양자 펀드를 지원한다.
* 독일 (태양광, 의료), 프랑스 (디지털헬스케어, 나노전자, 자율주행자동차), 중국 (바이오, 전자소재), 이스라엘 (IT, 무인항공기), 스위스(첨단기계)
구분 |
신규과제 예산(억원) |
과제당 지원규모 |
해외국 프로그램 운영기관 |
중국 |
10억원 |
2억원/2년 내외, 2년간 |
중국 과학기술부 |
이스라엘 |
20억원 |
100만달러/3년 내외, 3년 이내 |
이스라엘 경제개발부 |
프랑스 |
41.5억원 |
3억원/년 내외, 3년 이내 |
Bpifrance |
독일 |
독일 경제개발부, AiF | ||
스위스 |
교육연구혁신청, CTI |
- 앞으로도 최근 기술협력 MOU를 체결한 이탈리아 등 고위급 인사 순방과 연계하여 협력국가를 확대하고 ‘17년도에는 10개국 이상으로 늘려나갈 예정이다.
□ 이 밖에도 국내 산학연의 국제공동연구 진입장벽을 보다 완화하기 위해서 공동기술개발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교포공학인을 활용한 국제공동연구 타당성 과제 발굴, 해외 파트너 탐색, 기술동향 정보 수집, 민간 기술교류회 등도 함께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 2015년 산업기술 국제공동연구 세부 프로그램별 구체적 지원 방법, 일정 등 자세한 사항은 1.14(수)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발표되며,
* www.motie.go.kr, www.kiat.or.kr
ㅇ 2월 중 찾아가는 지역 설명회를 통해 세부 프로그램별 자세한 지원내용과 방법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지역별 설명회 개요>
일시 |
장소 |
‘15.2.3(화) 14:00~ |
(서울)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 |
‘15.2.4(수) 14:00~ |
(부산) 동서대학교 |
‘15.2.5(목) 14:00~ |
(광주) 광주테크노파크 가전로봇센터 대강당 |
‘15.2.6(금) 13:30~ |
(대전) 한국기계연구원 본관동 대회의실 |
□ 산업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은 국내 자체 역량으로 개발이 어려운 선진 기술의 습득이나, 해외 신시장 개척 등을 위해 국내외 기관 간 공동 기술개발 과제에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ㅇ 지원 세부 프로그램은 해외 정부 또는 R&D 펀딩기관의 참여(자금지원) 여부에 따라, 다음의 양자펀딩형, 유럽다자펀딩형, 일방펀딩형 프로그램으로 크게 구분된다.
구분 |
지원내용 |
‘15년 예산 |
양자펀딩형 |
- 독일, 프랑스, 중국, 이스라엘, 스위스, 스페인 등 6개 국가와는 정부간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 운영 - 해외 정부에도 동시에 과제 접수가 필요 |
106억원 (신규 72억원) |
다자펀딩형 |
- EU 41개국이 참여하는 유럽 다자간 기술협력 프로그램 - 2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과제에 대해 지원이 가능하며 참여국 R&D 펀딩기관에 과제 접수가 필요 |
97억원 (신규 49억원) |
일방펀딩형 |
- 해외 정부의 참여(지원)가 없는 산업부 단독 프로그램 - 국내 산학연의 선진기술 습득, 해외시장진출 등 수요를 고려하여 지원 |
312억원, (신규 38억원)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