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14년 벤처투자 큰 폭 증가, 깜짝 실적 달성!
- 등록일2015-01-21
- 조회수3268
-
발간일
2015-01-21
-
출처
중소기업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벤처투자
- 첨부파일
‘14년 벤처투자 큰 폭 증가, 깜짝 실적 달성!
- 투자는 전년보다 18.4% 증가한 1조 6,393억원 -
- 펀드 조성은 민간 출자 확대로 사상 최고치인 2.54조원 -
□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2014년도 벤처펀드 투자 동향을 발표함
□ (펀드 조성) 신규 펀드 조성은 2조 5,382억원으로 전년(1조 5,679억원) 대비 61.9%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
* 산정기준 : 벤처투자조합+창업투자 조합(신기술조합 및 사모펀드(PEF)는 제외)
ㅇ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것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 등으로 인해 벤처투자 환경이 좋아졌고, 이로 인해 벤처펀드에 대한 민간의 출자 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전년 대비 76.5% 증가)*했기 때문
□ (펀드 조성) 신규 펀드 조성은 2조 5,382억원으로 전년(1조 5,679억원) 대비 61.9%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
* 산정기준 : 벤처투자조합+창업투자 조합(신기술조합 및 사모펀드(PEF)는 제외)
ㅇ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것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 등으로 인해 벤처투자 환경이 좋아졌고, 이로 인해 벤처펀드에 대한 민간의 출자 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전년 대비 76.5% 증가)*했기 때문
< 벤처펀드의 민간 출자 규모 추이 >
구 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민간 출자 규모* | 4,822억원 | 8,599억원 | 1조 5,177억원 |
* 민간출자 규모는 모태펀드+성장사다리펀드+산업은행+지자체 등 정책성 출자를 제외하고 산정(성장사다리는 은행권에서 출자를 받아 조성한 민간의 母펀드이지만 정책성 펀드에 포함)
ㅇ 또한, 대기업, 벤처기업, 연·기금 등 민간의 출자자 수가 ‘13년 219개에서 ’14년도 338개로 대폭 확대(전년 대비 54.3% 증가)되어 벤처펀드 조성이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는데 기여하였던 것으로 분석됨
* 민간 출자자수 추이 : (‘12) 120개 → (’13) 219개 → (‘14) 338개
□ (신규 투자) 신규 벤처투자 규모 및 투자업체 수는 1조 6,393억원, 901개사로, 전년(1조 3,845억원, 755개사) 대비 각각 18.4%, 19.3% 증가
□ (업종별 신규 투자)
ㅇ 문화콘텐츠(영화, 콘텐츠, 게임 등) 및 생명공학(의약, 바이오 등)의 비중이 전년대비 각각 6.7%p, 7.3%p 증가하였고,
- 서비스업(온라인 마케팅, 유통 등)의 비중도 전자상거래 등 신생 유망업종에 대한 투자 확대로 전년대비 4.6%p 증가하였음
ㅇ 반면, 정보통신(모바일, IT 등) 및 일반제조업(전기, 기계, 장비 등) 업종은 전년에 비해 각각 8.8%p, 8.3%p 감소하였음
- 그러나, 정보통신 업종 중 세계적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분야는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전년대비 460억원, 1.5%p 증가) 추세임
ㅇ 문화·콘텐츠·의약·바이오·전자상거래 등의 업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최근 한류의 확산과 생명·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향후 발전 가능성을 고려한 투자인 것으로 보이며,
- 정보통신·일반제조업 등 기존 주력 투자분야에 대한 투자 감소는 바이오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투자 증가로 인한 상대적 감소에서 기인된 것으로 분석됨
□ (업력별 투자)
ㅇ 금액기준으로 창업초기 기업(3년 이내) 및 중기기업(3~7년)에 대한 비중은 전년대비 각각 4.1%p, 1.3%p 증가한 30.8%(5,045억원)과 24.8%(4,069억원)을 차지하였으며,
- 창업기업(초기+중기)에 대한 투자 비중이 ‘13년도 50.2%에서 ’14년도 55.6%로 확대(‘13년 6,958억원→’14년 9,114억원)되었음
ㅇ 업체수 기준으로는 창업초기 기업 및 중기기업의 투자 비중이 46.8%와 24.7%를 차지하여 벤처캐피탈 투자업체의 대부분이 창업기업인 것으로 분석됨
□ (‘14년도 투자동향의 시사점 및 전망) 민간의 출자 확대 등으로 2014년도 벤처투자가 깜짝 실적을 달성한 것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추진해온 다양한 정책들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반증이며,
ㅇ 창업·벤처기업이 느끼는 정책 체감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음
ㅇ 특히, 중소기업청은 벤처투자 실적이 당분간 일정 비율이상(약 10%) 상승 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 이 경우 “2017년경에는 신규 벤처투자가 약 2조 1,700억원을 기록하여 사상 최고치를 갱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음
* 신규 벤처투자가 가장 많았던 해는 벤처붐 당시인 2000년도 2조 211억원임
ㅇ 창업·벤처기업이 느끼는 정책 체감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음
ㅇ 특히, 중소기업청은 벤처투자 실적이 당분간 일정 비율이상(약 10%) 상승 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 이 경우 “2017년경에는 신규 벤처투자가 약 2조 1,700억원을 기록하여 사상 최고치를 갱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음
* 신규 벤처투자가 가장 많았던 해는 벤처붐 당시인 2000년도 2조 211억원임
< 벤처투자 현황 및 전망치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
투자실적 | 12,608 | 12,333 | 13,845 | 16,393 | 18,000e | 19,800e | 21,700e |
증가율 | 15.6% | △2.2% | 12.3% | 18.4% | 10.0%e | 10.0%e | 10.0%e |
* 주 : ‘15년 이후 신규투자 실적 증가율을 약 10%로 추정하여 예상한 전망치임
ㅇ 중소기업청은 이를 위해 모태펀드 출자 확대, 벤처펀드 및 코스닥시장 규제 완화, 크라우드펀딩 관련 법안의 조속 통과 등을 추진하여 벤처투자 활성화를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중소기업청은 금번 깜짝 실적으로 인해 ‘15년도 업무보고에서 발표한 ‘15년도 신규 벤처투자 목표를 1조 7,000억원에서 1조 8,000억원으로 변경
< 첨부 > 2014년도 벤처투자 세부 동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