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시험인증서비스 산업화의 길을 찾는다.
- 등록일2015-01-22
- 조회수2835
-
발간일
2015-01-2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시험인증서비스
- 첨부파일
?
시험인증서비스 산업화의 길을 찾는다.
?- 2015 16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발표 -
□ 에너지저장장치(ESS), 자동차, 조선해양 플랜트분야 등 16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발표됐다.
ㅇ 국가기술표준원은 1. 21. (수) 더 케이 호텔에서 ‘2015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발표회’를 열었다.
- 이번 행사는 지난해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시험인증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2015년 16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를 발표하고 서비스별 상용화 방안을 논의했다.
* ‘시험인증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은 정보기술(IT) 기반 글로벌 시험인증 강국 구현을 비전으로 유망분야 집중 지원, 시험인증역량 강화, 신시장 확충, 법제도 선진화 등을 담고 있음
ㅇ 정부가 주도적으로 유망 시험인증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독려하는 것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시험인증을 제조업 인프라에서 서비스산업으로 전환하여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 ‘13년 시험인증산업 세계시장 157조원(연평균성장률 6%), 국내시장 9조원(연평균성장률 9%), 출처: 2014년도 시험인증산업실태조사, 한국시험인증산업협회
< 2015 16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
구분 |
서비스명 |
구분 |
서비스명 |
1 |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 시험 |
9 |
나노구조를 가진 탄소복합물질 평가 |
2 |
국가기간산업 기능안전성 시험인증 |
10 |
M2M 기반 사물통신 상호운용성 시험 |
3 |
스마트 에코 빌딩 시험인증 |
11 |
감성 고효율 반도체 조명의 시험평가 |
4 |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시험인증 |
12 |
바이오융합 소재 평가 |
5 |
용량별 무선충전 시험인증 |
13 |
건강한 국가실현을 위한 중독평가 |
6 |
글로벌 규제 대응 자동차 부품 시험인증 |
14 |
3D 프린팅 시험인증 |
7 |
원격 융합 의료기기 안전성 시험 |
15 |
실도로 배기규제 및 미량유해물질 시험 |
8 |
극한환경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 |
16 |
철도 부품의 신뢰성 평가 |
□ 먼저,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시험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 충북혁신도시에 '중대형 ESS 시험인증평가센터'를 설립한다.
*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써, 특히 대용량 시스템의 시험환경 미비로 평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이를 위해 지난달 22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과 충청북도는 2018년까지 총 320억원을 투자하여 센터를 완공하기로 협약했다.
□ 그리고, 지난달부터는 ‘자동차/철도 기능안전성 시험평가’와 ‘무선충전 시험인증서비스’에 대한 상용화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ㅇ 올해 우선적으로 국민안전과 밀접한 자동차와 철도 분야의 기능안전성에 대한 교육·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시험인증서비스를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상용화하기로 했다.
* 기능안전성(Functional Safety)은 산업분야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안전성표준 IEC 61508 등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외국계 기관만 서비스 제공 중
ㅇ 무선충전 분야는 스마트폰·태블릿 등 소용량 무선충전 시험인증서비스를 먼저 상용화한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이 연내 무선충전 방식별, 용량별 시범서비스를 시행한다.
ㅇ 또 정부는 3월에 추가로 2개 유망 시험인증서비스에 대한 상용화 시범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 이동욱 국가기술표준원 적합성정책국장은 인사말을 통해 “시험인증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유망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상용화하여 고부가가치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ㅇ 국가기술표준원은 1월중 ‘2015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전략로드맵’을 발간하고, 16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의 상용화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붙임
참고1 - 2015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발표회 개요
참고2 - 2015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선정 추진 경과
참고3 - 2015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선정 추진 경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