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실적 상승 추세
- 등록일2015-01-29
- 조회수3247
-
발간일
2015-01-28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이전#?공공연구기관
- 첨부파일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실적 상승 추세
-‘13년 기술이전건수는 7,495건으로 전년대비 12.3% 증가 -
- 기술이전·사업화 지수를 도입하여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 차등화 -
※ 본 조사는 공공연구기관* 301개 (공공연구소 153개, 대학 148개)를 대상으로 '13. 5~6.까지 ’12년도 기술이전·사업화 현황을 파악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전문생산기술연구소(전문연), 대학, 국공립연구기관 등을 포괄함 |
ㅇ 아울러, 기술이전건수의 대부분(83.2%)이 중소·중견기업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연구기관 보유 기술의 이전·사업화 촉진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 대기업(8.8%), 중견기업(3.0%), 중소기업(80.2%), 기관(8.0%)
□ 기술료 수입은 ‘12년(1,651억원)에 비해 다소 하락한 1,353억 원으로 나타났다.
ㅇ 이는 정부가 기술이전 기업의 초기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기업이 공공연구기관에 기술료를 납부하는 방식을 기존의 정액에서 경상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기술료는 연구개발 결과를 실시(사용?양도?대여?수출)하는 권리를 획득하는 대가로 소유권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으로, 매출액에 비례하는 경상방식과 일시불로 지급하는 정액방식이 존재함
□ 기술이전건수가 우수한 기관은 연구소 중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 한양대, 서울대 순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기술료 수입은 연구소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소가, 대학은 성균관대, 한양대, 서울대가 높은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주요 지표 상위 기관 】
구분 순위 |
기술이전건수 |
기술료 수입 | ||
연구소 |
대학 |
연구소 |
대학 | |
1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
KAIST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
성균관대 |
2 |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
한양대 |
한국전기연구원 |
한양대 |
3 |
한국기계연구원 |
서울대 |
한국원자력 연구소 |
KAIST |
□ 산업부는 기술이전·사업화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술사업화 수준을 비교·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여 공공硏의 사업화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ㅇ 공공연구기관을 설립 목적, 연구규모 등에 따라 4가지 유형 (기초/미래 선도형, 공공/인프라형, 연구/교육형, 상용화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 내에서 등급(A,B,C,D)을 지정하는 평가방식을 적용했다.
ㅇ A등급을 받은 우수기관에게는 산업부 연구개발(R&D) 과제 수행시 간접비 지급 비율 확대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 이와 더불어, 산업부는 미래부와 공동으로 기업의 기술수요를 직접 발굴하고, 매년 100~200개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ㅇ 잠재적 시장가치가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미활용 기술이 중소기업으로 이전되어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후속 상용화 R&D를 지원하는 ‘연구개발(R&D) 재발견 프로젝트’를 지난해보다 강화할 한다.
* R&D 재발견 프로젝트(‘14년 40억원 → ’15년 110억원)
□ 차동형 산업부 국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서 나타나는 시사점을 면밀히 분석하고,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를 확대하여 창조경제의 성과 구현을 가속화하도록 노력하겠다.” 라고 밝혔다.
【붙임】『‘13년도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조사 결과 (요약)』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