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산업부, 2~3년 단기 산업화 프로젝트로 신시장 창출 추진

  • 등록일2015-05-07
  • 조회수3713
  • 발간일
    2015-05-06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화 프로젝트로
  • 첨부파일
    • hwp (최종보완)+0504+(6일조간)+산업기술개발과,+징검다리프로젝트.... (다운로드 10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산업부, 2~3년 단기 산업화 프로젝트로 신시장 창출 추진
- 산업엔진 분야 12개 징검다리 프로젝트에 ‘17년까지 총 1,100억 원 투자, 약 3조 원의 신시장 창출 예상 -
- 올해 약 310억 원 규모의 R&D 신규 투자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이하, 산업부)는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산업엔진 프로젝트’의 성과를 조기에 창출하기 위해 12개 징검다리 프로젝트에 ‘15~’17년까지 약 1,1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 (징검다리 프로젝트, Bridge project) 산업엔진 프로젝트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개발(R&D) 과정 중 중간결과물을 활용하여 시장에 기술?제품을 출시하는 프로젝트

 ㅇ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엔진 추진과정에서 파생된 중간성과를 활용하여 즉시 상용화와 제품화하여 ‘17년까지 약 3조 원의 수요시장이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 산업부는 징검다리 프로젝트가 현재 시장의 수요가 가시화되고 있는 니치마켓(Niche market,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으로 단기적인 연구개발(이하 R&D)를 통해 기술개발 성과를 조기에 산업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ㅇ 올해는 원양 어선 어군탐지용 무인기, 병원물류로봇, 플라스틱 기반 자동차 튜닝 제품 소재 등에 약 310억 원 규모의 R&D를 신규 투자할 계획이다.
□ 대표적인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ㅇ (플라스틱 기반 자동차 튜닝부품) 고성능(高性能)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

   - 우선적으로 요구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리미엄 초소형 전동차(어린이용 승용완구 등) 소재를 개발하고,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통해 실차 적용에 가능한 성능으로 개선하여 자동차 튜닝부품에 우선 적용·상품화한다.


<수송기기용 플라스틱 소재 징검다리 개념도>

20150507_130038.jpg



 ㅇ (어군 탐지용 무인항공기) 민간 무인기 운항제도 수립 이전(~20년), 공해상에서 제도와 상관없이 운용할 수 있는 원양 어선의 어군(魚群)을 찾는 무인기를 개발하여 시장을 선점하고,

   - 이후에 최종 목표인 불법 어로 감시, 군 정찰, 재난재해 감시 무인기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기로 했다.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징검다리 개념도>

20150507_130101.jpg


ㅇ (병원?물류로봇) 의료기기로 분류되지 않아 인허가가 필요 없고, 최종 간병?원격진료 로봇을 위한 중간 개발 기술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이다.

   - 1차적으로 국내외 병원 혹은 요양원에 개발된 병원?물류로봇을 적용해 보고, 2차적으로 호텔 및 대형창고로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간병로봇이나 원격진료 로봇으로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 국민 안전?건강로봇 징검다리 개념도 >

20150507_130119.jpg

 

 
□ 차동형 산업부 산업기술정책관은 “12개 징검다리 프로젝트를통해 새로운 시장 창출 이외에 기술개발 중간에 성과를 점검하고 관련분야에 적용해 봄으로써 최종 목표 달성의 위험요소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망했다.

 ㅇ 또한, “개발한 기술?제품의 신속한 시장출시를 위해 표준화?인증 지원, 시험평가용 연구장비 구축, 혁신제품의 실증 시범특구 운영 등 인프라 지원도 프로젝트 성공의 열쇠라는 인식 하에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의 협력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붙임) 징검다리 프로젝트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로드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