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만성질환 규명의 열쇠, 한국인 맞춤형 칩 제작

  • 등록일2015-05-13
  • 조회수3179
  • 발간일
    2015-05-13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 맞춤형 칩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_만성질환_규명의_열쇠,_한국인_맞춤형_칩_제작.... (다운로드 16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만성질환 규명의 열쇠, 한국인 맞춤형 칩 제작 

- 한국인칩 제작 발표 -


◇ 보건복지부 지원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을 통해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칩 제작 

◇ 한국인 만성질환 연구에 최적화된 한국인칩을 활용한 질병예방·예측 및 미래유전체의학 조기실현 기반마련


□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칩,「한국인칩*」을 제작 및 생산한다고 밝혔다. 


* 한국인칩: 한국인 특이적 유전체 정보를 반영하여 제작된 한국인 질병 유전체 연구에 최적화된 칩.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유전변이 중 단백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유전변이 약 20만개와 한국인 유전체를 대표하는 유전변이 약 60만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있음


- 유전변이: 인간은 서로 간에 99% 이상 동일한 유전정보를 가지고, 약 1%는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유전변이라고 하며, 머리카락, 눈동자 등 표현형과 다양한 질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한국인칩은 한국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당뇨,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의 유전적 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 이번에 제작된 한국인칩에 담긴 유전변이 정보는 ‘08년부터 ’13년까지 “한국인유전체분석사업” 등을 통해 발굴한 한국인 특이적 유전체 정보 및 만성질환 관련 유전변이 정보 등이 반영되어 제작되었다. 


○ 기존 상용칩은 다인종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한국인 질환 분석에 사용하는 경우 약 60-70%의 정보만이 활용 가능하나,


○ 한국인칩은 유전변이 정보의 95% 이상을 활용할 수 있고, 기존 상용칩에 비해 최소 3-4배 이상의 경제적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 상용칩 대비 경제적 절감효과: 한국인칩을 사용하여 동일한 양의 정보를 생산하는 경우 기존 상용칩 대비 3-4배 적은 예산으로 생산 가능함


□ 보건복지부는 한국인 칩을 이용하여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에서 생산되어 추적 조사된 한국인 인구집단 시료 10만 명분의 유전체 정보를 우선 생산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 생산된 대규모 유전체 정보는 제2형 당뇨, 고혈압 등과 연관된 새로운 유전요인을 찾아내는데 활용되며, 특히, 한국인 호발성 만성질환에 대한 유전요인, 바이오마커 발굴 등 질병예측 및 예방분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인 유전체 정보는 “한국인칩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질병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는 한국인칩 제작 및 정확도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심혈관질환, 치매, 고지혈증, 호흡기질환) 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한국인칩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보건의료유전체사업 성과발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인칩 개발을 위해 국립보건연구원에 연간 20~30억씩 지원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