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착용형 스마트기기 실용화 촉진을 위한 인체정보 보급

  • 등록일2015-05-21
  • 조회수3651
  • 발간일
    2015-05-2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착용형 스마트기기
  • 첨부파일
    • hwp 0521+(22일조간)+착용형 스마트기기 실용화 촉진을 위한 인체정보... (다운로드 40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착용형 스마트기기 실용화 촉진을 위한 인체정보 보급

 - ① 필요한 인체정보를 추출·가공하여 맞춤형으로 제공, ②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

 

□ 한국인의 인체치수와 형상(이하 인체정보)을 측정해온 “사이즈코리아 사업(Size Korea)”이 올해부터는 스마트 안경 등 착용형 스마트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자인 산업화에 앞장선다.


 ㅇ 착용형 스마트기기는 올 3월 산업부와 미래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의 중점추진분야 중 하나로 안경, 시계, 밴드, 신발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가능하므로 사용하는 부위에 맞는 인체정보가 필수적이다.  


 ㅇ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성시헌, 이하 국표원)은 사이즈 코리아 사업을 통하여 제품별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인체정보를 측정하여 관련 업계에 보급하기로 했다. 



20150521_171605.jpg

<착용형 스마트기기의 종류와 인체정보>


□ 기존의 사이즈코리아 사업이 단순히 “인체정보”만 제공했다면, 올해부터는 제품 설계에 필요한 인체정보를 추출·가공하여 산업계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 (예시) 스마트안경의 디자인에 필요한 인체정보와 설계 변수간 관계분석

   ① 렌즈크기 : 눈 너비와 높이 

   ② 안경 코 받침대 : 눈동자 사이 너비와 코 높이 

   ③ 안경다리 : 귀 높이, 귀와 광대뼈 간 너비

   ④ 착용성 : 기능적 특수성으로 인한 하중의 분산 고려 



 ㅇ 더불어 인체정보를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가이드라인으로 개발하여 업계에 보급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컨설팅도 제공하기로 했다.


□ 국표원은 이번 사업을 위해 한국디자인진흥원(총괄)·동서울대·서울대·(측정·입체(3D)형상개발)·알마덴디자인리서치(수요조사·보급·활용) 등이 참여 하는 협업체제(컨소시엄)를 구성했다.


 ㅇ 올해 착용형 스마트기기를 시작으로 향후에는 자동차, 헬스케어 제품 등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해 사용자 편의 및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품개발을 촉진하고 우리기업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 또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누구나 한국인의 인체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사이즈코리아 홈페이지(www.sizekorea.kats.go.kr)”를 전면 개편하였다.  


 ㅇ 지금까지는 국표원을 직접 방문해야만 기초자료(원시 데이터: Raw Data)를 제공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인체정보를 다양한 형태(1차원, 3차원)로 직접 받아볼 수 있다.


 ㅇ 국표원은 인체정보의 개방 및 활용성 제고를 통해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사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신사업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