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내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 분리 및 전체 유전체 분석 결과

  • 등록일2015-06-08
  • 조회수4062
  • 발간일
    2015-06-08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메르스
  • 첨부파일


국내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 분리 및 전체 유전체 분석 결과

기존 중동지역 메르스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이주실)은 우리나라의 두 번째 메르스(MERS) 환자의 검체로부터 바이러스 분리 배양 및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지니고 있는 최소 정보 단위의 순서로,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체의 염기는 약 3만여개임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에서 발생한 두 번째 메르스 환자의 객담으로부터 Vero 세포(녹색 아프리카원숭이 신장 세포로, 에스페란토 언어의 약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배양하는데 성공하였다.


배양한 메르스 바이러스 전체 염기 서열을 완성하여, 국내 바이러스학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네델란드 의과학연구센터(EMC·Erasmus Medical Center) 등 국내외 바이러스 전문연구기관 및 협회와 유전자 염기 서열 정보를 공유하여, 우리나라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유전자 염기 서열을 나타냈다.


첫 메르스 바이러스인 **EMC 표준주(GenBank No. JX869059)와는 99.55% 일치하였다. 또한, 그간 알려진 메르스 바이러스 55개 유전자 정보 중에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 분리주 (GenBank No. KF600628, KSA_Hafr-Al-Batin_2013)와는 99.82%로 가장 높은 일치를 보였다.

** 메르스 바이러스가 첫 발견된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환자로부터 EMC가 처음으로 분리한 바이러스로,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National Institues of Health)의 유전자정보은행(GenBank)에 `JX869059‘ 번호로 보관돼 있으며, 메르스의 변종 등을 비교할 때 표준이 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