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창조경제의 원동력, 최첨단 나노기술과 제품이 한자리에
- 등록일2015-07-01
- 조회수3097
-
발간일
2015-07-0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기술
- 첨부파일
창조경제의 원동력, 최첨단 나노기술과 제품이 한자리에
- 나노코리아 2015, 제13회 국제나노기술 심포지엄 및 나노융합대전 개최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나노기술의 연구성과 확산 및 나노기업의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자, 7월 1일(수)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나노코리아 2015」를 공동개최한다.
ㅇ 올해 13주년을 맞이하는 「나노코리아 2015」는 세계 3대 나노행사* 중의 하나로, 나노분야의 연구성과가 다양한 산업분야와 접목되어 창조경제를 이끄는 교류·협력의 장(場)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3대 나노전시회(규모순): 나노 테크 재팬(Nano Tech Japan,일본), 나노 코리아(Nano Korea, 한국), 테크 콘넥트 월드(TechConnect world, 미국)
□ 이 행사는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18개국의 최첨단 나노기술과 응용제품을 전시하는 나노융합대전과 나노분야의 세계석학과 2,000여명의 나노연구자가 참석해 연구성과를 교류하는 심포지엄으로 구성했다.
ㅇ 나노융합대전에서는 18개국 394개 기업(기관)이 총 565개 부스를 설치하여 첨단 기술·제품을 전시하였으며, ‘텍투비즈(이하 T2B: Tech to Biz) 시연장’ 등 다양한 특별 전시관과 함께, ‘나노제품 수요·공급자간 상담회’와 ‘해외바이어 초청 상담회’ 등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나노분야외에 마이크로멤스, 첨단세라믹, 레이저, 입체(3D)프린팅 기술, 바이오닉스 등 총 6개 분야 전시회를 같이 열어 산업기술 간 교류협력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ㅇ 심포지엄에서는 ‘나노기술, 창조경제의 원동력’ 이라는 슬로건 하에 12개국 121명의 초청 강연을 포함해 총 1,133편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 유네스코 지정 ‘세계 빛의 해’를 기념해 국내외 대표적 연구자들이 빛을 활용한 나노기술의 연구성과를 특별 강연하며, 우리 생활을 바꾸는 나노기술에 대해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알기 쉬운 강연과 실험 등 교육프로그램도 마련했다.
* 유네스코(UNESCO)의 결의와 추천에 의해 유엔(UN) 총회에서 2015년을 ‘세계 빛의 해(IYL)’로 지정
- 이와함께, T2B 특별전시관내에 나노하우스를 설치하여 실생활 속에 적용되는 나노기술 및 제품에 대한 홍보도 진행 한다.
- 또한, 아시아에서의 나노기술 및 산업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중?일의 대표적 나노 전문기관 간에 최초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 (한)나노기술연구협의회, (중)국가나노과학기술센터, (일)일본나노테크집행위원회
ㅇ 특히 올해는 나노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고자 산업화 세션을 신설하여 디스플레이, 에너지, 자동차 분야에서 나노기술의 산업 적용에 관한 현황과 전망을 수요기업 관점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 이번 행사에는 미래부 이석준 차관, 산업부 황규연 실장, 노영민의원, 민병주의원 등 나노 관련 국내외 주요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고, 나노산업 유공자 및 우수기술에 대한 시상도 진행했다.
ㅇ 산업기술분야에서는 ‘인쇄전자 저온공정용 은나노잉크’를 출품한 ㈜파루가, 연구혁신분야에서는 최성율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국무총리상을 수상하였고, 그 밖에 산업부 장관상(5점), 미래부 장관상(5점) 등이 수여했다.
□ 황규연 산업부 실장은 격려사를 통해 “이번 행사가 나노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즈니스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정부도 나노기술 상용화와 기술융합을 위해 정책역량을 결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이석준 미래부 제1차관은 “나노기술의 상용화가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 정부도 우수한 연구성과가 산업화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나노코리아 2015 세부행사계획. 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