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산업부, 미래 산업엔진 포럼 발족
- 등록일2015-09-04
- 조회수3625
-
발간일
2015-09-03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 산업엔진
- 첨부파일
산업부, 미래 산업엔진 포럼 발족
- 산업분야 미래성장동력의 조기성과 창출을 위한 산학연 협력의 장(場) 마련 -
- 산업엔진 분야 기업투자 지원을 위해 1,050억원 규모의 펀드 출시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 이하 산업부)의 「제조업혁신 3.0전략」 실행대책 후속으로 산업분야 미래성장동력(이하 산업엔진)의 민간 투자 활성화와 조기성과 창출 등을 위한 ‘미래 산업엔진 포럼(운영위원회)’가 9. 3.(목) 발족*했다.
* ‘15.9.3.(목) 10:30~13:00, 르네상스호텔 4층 유니버셜룸에서 포럼 개최
ㅇ 미래 산업엔진 포럼은 오늘 개최된 운영위원회 산하에 사업별 포럼을 두고, 산, 학, 연 기술전문가와 함께 투자?조세?법률 전문가 등 약 300명 규모로 운영하기로 했다.
* 운영위원회 위원장으로 국내 전자산업에 풍부한 경험과 식견을 갖춘 민간전문가인 이희국 (주)엘지(LG) 사장을 위촉
ㅇ 포럼은 우리나라 산업엔진 분야에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정부의 미래성장동력의 조기성과 창출과 성공을 위한 협력의 장(場)이 마련되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한편, 산업부는 2013년에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팀(T/F)을 통해 제조업의 고도화 및 신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소재부품산업, 시스템산업, 창의산업, 에너지산업 등 4개 산업분야에 13대 산업엔진*을 발굴했다.
* 산업엔진 : 기술개발과 함께 국제공동연구, 사업화, 표준?인증 및 산(대?중소)?학?연 동반성장 등 종합적인 산업생태계 조성 계획으로 「제조업혁신 3.0전략」의 핵심과제임
ㅇ 또한, 산업엔진 등 정부의 미래성장동력 분야 기업의 신기술 사업화 투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1,050억원 규모의 ‘성장동력펀드’를 출시해 기금(펀드) 운용사를 2개 선정(‘14.12월)한 후 기금 결성을 완료(’15.8월)했다.
- 아울러, 산업엔진 분야에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 사업화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펀드 운용사와 1:1 맞춤상담 등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설명회도 열린다.
□ 이날 개최된 포럼 운영위원회에서는 그간에 산업부가 추진한 ‘산업엔진 프로젝트’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성장동력 투자기금(펀드) 현황과 규제개선, 조세지원 등 민간의 투자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ㅇ 이 자리에서 산업부 황규연 산업기반실장은 “산업엔진이 중장기 과제이기 하지만 「징검다리 프로젝트」와 같이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에 집중 지원하여 어려운 국내 경제상황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라며 정부의 의지를 강조하고,
- “이 포럼을 통해 시장이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가감 없이 논의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하며 정부와 기업 간의 소통을 강조했다.
ㅇ 이희국 위원장은 “이제는 정부가 추진하는 산업엔진에 대해서 기업들이 힘을 보탠다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포럼을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창구로 만들어 산업엔진의 성공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앞으로, 포럼의 간사 기관인 산업통상자원연구개발(R&D)전략기획단은 사업별 포럼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와 연계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ㅇ 11월에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성과대전을 통해 그간의 산업부의 산업엔진 지원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
* 산업기술연구개발(R&D) 성과대전 : ’15. 11. 19. ~21. 서울 양재 에이티(AT)센터
< 참고 > 4대 분야 13대 산업엔진
시스템 산업(5) | ||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국민 안전?건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
소재?부품 산업(3) |
창의 산업(3) |
에너지 산업(2) |
·수송기기용 플라스틱 화학소재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
·가상훈련 시스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스마트 바이오 생산시스템 |
·초임계 이산화탄소(CO2)발전시스템 ·직류 송배전시스템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