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창조경제혁신센터 1년 성과
- 등록일2015-09-14
- 조회수3946
-
발간일
2015-09-13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창조경제혁신센터
- 첨부파일
창조경제혁신센터 1년 성과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출범 이후 운영 현황
- 최근 2개월간 창업보육기업 수 2배, 중소기업 기술?판로?자금지원 건수 3배 증가 -
- 최근 2개월 동안 투자펀드 집행실적 3배 이상 증가(108억원→359억원) -
- 혁신센터·중기청·민간 연계 지역별 데모데이 등 펀드집행 가속화 추진 -
□ 지난 2014.9.15.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의 확대 출범이후 1년여간 혁신센터의 출범과 함께 창업허브, 지역특화 산업 등 중소기업의 혁신지원, 지역혁신기관과의 연계 강화에 노력함
ㅇ 전국에 혁신센터 개소가 완료(2015.7.22)된 시점을 전후하여 센터의 기능이 모든 면에서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음
- 6월말 대비 9.8일 현재 최근 2개월여간 업력 7년 미만의 창업보육기업 수는 180개에서 391개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창업보육기업의 매출은 23억원에서 193.5억원으로 8배, 신규인력채용은 48명에서 82명으로 2배 가량 증가함
- 업력 7년 이상의 중소기업의 기술·판로·자금 지원 건수도 104건에서 281건으로 3배 가량 증가함
□ 주요 성과사례를 살펴보면, 테그웨이는 유네스코의 ‘2015 세상을 바꿀 10대 정보통신기술(ICT) ’ 그랑프리를 수상하였고, 그 외에도 JB드론코리아, 이대공, 텀퓨어, KPT, 한국NSD 등 성공사례가 탄생하여 후발 창업가들에게 좋은 롤모델이 되고 있음
* (JB드론코리아) 전북혁신센터의 멘토링, 자금연계 지원 등을 통해 중국 ‘Jun Fa Electronic Limited’로부터 2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 확정(15.8월)
* (이대공) 대구혁신센터의 씨랩(C-Lab) 공모전 1기 졸업기업으로 ’15.7월 서울 안국동에 오프라인 매장 오픈(‘소비자 맞춤형 디자인의 기능형 가방’)
* (텀퓨어) 대학생 창업기업으로 부산혁신센터의 창업공간?기술?금융연계 지원 등을 통해 ‘텀블러 세척기’ 시제품 제작에 성공, 롯데계열 커피전문체인에 납품 논의 중
* (KPT) 화장품 원료제형분야 기술보유기업으로 충북혁신센터와 공동기술개발 및 마케팅 개선을 통해 ‘15.7월 구슬모양 화장품 ‘콜라겐 진주환’출시, 전국 1,200개 더페이스샵 매장에서 판매 및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 원료공급 협의 진행
* (한국NSD) CNC방전가공기(드릴) 중소기업으로 충남센터 무역존을 통해 터키에 $43,500수출 계약(15.8월), 추가 약 20만불 계약을 준비중
□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투자펀드 집행도 본격화 되고 있음
ㅇ 전국 17개 시도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향후 5년간 총 8,174억원의 투자펀드 조성을 목표로 9월 8일 현재 총 3,575억원(목표치 대비 44%)이 조성되었고, 359억원(조성액 대비 10%)이 집행됨
- 혁신센터의 출범시기를 고려할 때, 6월말 이전 출범한 센터 중 부산센터와 전남센터를 제외하고는 펀드 조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
* 부산센터의 경우 영화펀드 내 세부분야별 투자 비중에 대해 일부 이견이 있었으나 관계기관간 협의가 마무리단계
* 전남센터의 경우에도 지자체의 출자금 확보가 지연되고 있으나 전담기업인 GS와 성장사다리펀드 등 타 기관의 출자금으로 우선 펀드를 조성하기로 관계기관간 협의가 완료
ㅇ 집행의 경우 대구, 대전, 경북, 경기, 강원, 충남, 울산, 인천 8개 지역센터에서 투자실적이 이루어졌음
- 혁신센터 보육, 펀드조성 및 운용사 선정이 진행된지 얼마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할 때, 아직 집행실적이 본격화되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 최근 2개월 동안 집행실적(증가분 기준)이 2배 이상* 확대되는 등 빠른 속도로 집행이 늘고 있어 조속한 시일 내 정상궤도로 진입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조성/집행실적(억원) : (6월말) 1,380/108.1 → (9.8) 3,575/359.3
□ 정부는 이에 더하여, 혁신센터 연계 투자펀드의 집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ㅇ 우선, 지난 8월 7일 전국 혁신센터와 민간기관이 협업하여 성공적으로 개최한 ‘창조경제 데모데이’를 벤치마킹하여 주요 지역별 창업·보육기업과 투자자간 연결을 위한 데모데이를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개최할 계획임
- 각 센터별로 기획하는 데모데이 중 3개 지역*을 선정하여 중기청과 함께 주요 벤처캐피털(VC) 등이 참가하는 행사로 확대 추진할 예정임
* 후보지역 : 충북(10월초), 경남(10월말), 전남(11월)
ㅇ 또한, 혁신센터별 보육기업 성과전시회 등과 연계한 데모데이 등을 수시로 개최할 계획임
ㅇ 아울러, 펀드의 모험적 투자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임
- 미래부·중기청 등 정부의 민간투자 연계형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사업 및 한국과학기술지주·미래과학기술지주 등 공공투자와 연계를 강화할 예정임
- 혁신센터 파이낸스존 참여 금융기관과 함께 투자 대상기업을 지속 발굴해 나가고
- 혁신센터 전담기업 및 중기청의 별도 펀드(예 : SK-Knet 펀드, 청년창업펀드 등)의 운용과정에서 혁신센터와 정보공유, 투자기업 공동검토 등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임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