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16년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개발(R&D) 예산 3조 9,446억원에 대한 종합시행계획 확정
- 등록일2016-01-05
- 조회수4262
-
발간일
2016-01-05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미래부,‘16년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개발(R&D) 예산 3조 9,446억원에 대한 종합시행계획 확정
- 기초연구, 기술개발, 사업화, 인력양성, 기반조성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016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주요 연구개발(R&D) 사업에 총 3조 9,446억원을 투자하는 「2016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ㅇ 동 종합시행계획은 미래부 전체 R&D 예산 6조 5,571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한 것으로, 과학기술 분야 2조 9,600억원, ICT 분야 9,846억원에 대한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ㅇ 미래부는 2015년부터 과학기술과 ICT 분야 R&D사업을 통합하여 수립·발표함으로써 미래부 R&D사업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과학기술과 ICT 분야의 상호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2016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6년 R&D사업 종합시행계획 비전 및 기본방향 >
◆ 비전: 과학기술·ICT R&D 혁신 가속화를 통한 창조한국 실현
◆ 기본방향
- “R&D 혁신방안”, “바이오 미래전략”, “K-ICT 전략” 등 旣 수립한 주요 정책을 ‘16년 R&D사업 종합시행계획으로 구체화하여 실행력 확보 및 성과 가시화
- 과학기술과 ICT 기반의 성장 동력 창출 및 국민행복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R&D 지원을 강화
[ R&D 사업·분야별 중점 추진방향 ]
□ [기초연구] 신진·중견·리더연구자 지원사업을 통합하여 연구 지원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연구기간/연구비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등, 기초연구지원의 유연성을 제고한다.
□ [원천연구] 미래 유망분야의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ㅇ 바이오, 나노 등 신시장·신사업 창출 가능성이 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가중되는 新 기후변화체제를 성장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ㅇ 또한, 기술분야 간 융합을 넘어 인문·예술, 전통문화 등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을 통한 융합기술개발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ㅇ 달 탐사 사업,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등 우주분야 신규 사업 추진을 통해 우주기술 자립 및 우주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원자력 이용 환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ㅇ ICT 분야에서는 K-ICT 9대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되, 지능정보기술 분야에서 전략적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고, 기술 분야간 융합과제(예 : IoT + 빅데이터)를 추진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 연구개발 투자를 실시할 계획이다.
ㅇ 또한, 대학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반영하기 위해 “창조씨앗 R&D”를 확대하는 한편, 기업 수요의 즉각 반영을 위해 기업지원 과제의 자유공모를 80%이상으로 확대하고 Fast-Track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ㅇ 이러한 ICT 분야 연구개발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개방형 평가를 확대하고, 성과지표를 양적지표(논문ㆍ특허 건수 등) 중심에서 질적지표(피인용 지수 등) 중심으로 전환하는 등 ICT R&D 평가 전문성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사업화] 신산업 창출을 위한 중대형 및 복합 기술 기반의 기술사업화 지원을 강화하고, 창조경제 혁신센터를 통해 발굴한 창업기업이 안착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 제공을 확대하는 등 공공연구기관 보유 기술사업화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ㅇ 중소기업이 R&D를 주도할 수 있도록 ICT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고, 창조경제밸리 기업 기술사업화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연구성과 사업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 [인력양성] 창조경제의 핵심동력인 우수 인력의 역량 제고를 지원한다.
ㅇ 미래 유망 과학기술분야와 연계한 진로 지원 및 “교육-병역-창업”을 연계한 과학기술전문사관제도를 운영하고, 미취업 석·박사 대상 연구역량 제고 및 중소기업 취업 연계로 구인·구직난 해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ㅇ 아울러, ICT연구센터(ITRC), 방송통신정책연구센터(CPRC), SW마에스트로 과정, SW특성화대학원 등 미래 ICT를 견인할 수 있는 창의적 고급인재양성사업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기반조성] 국가·권역별 협력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과학기술 협력을 지속 추진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차질없는 조성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ICT 장비, 테스트베드 등 기업ㆍ대학ㆍ연구소 등이 공동활용할 수 있는 R&D 연구인프라를 조성하는 등 ICT산업의 지속적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
□ 미래부 관계자는 “동 종합시행계획을 통해 과학기술·ICT 분야 R&D의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고, 과학기술과 ICT가 국민 행복 및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