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20년 글로벌 신약 17개 목표 달성을 위한 국경 없는 민관 협력방안 논의
- 등록일2016-09-12
- 조회수3740
-
발간일
2016-09-12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
- 첨부파일
2020년 글로벌 신약 17개 목표 달성을 국경 없는 민관협력방안 논의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9월 12일(월), 국내 제약업계의 글로벌 신약 및 백신시장 진출 가속화를 지원함과 동시에 개발도상국 질병퇴치에 기여할 수 있는, ‘국제 파트너쉽 협력방안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글로벌 백신시장은 2010년 이후 연 11%씩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2023년 114.2조원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며(GBI research), 국내 백신시장도 2014년 기준 약 7천억원 규모로 연 8% 이상씩 빠르게 성장 중이다.
ㅇ 그러나 국내 백신자급률은 2016년 현재 39%(품목기준)에 머물러 있고, 국내 백신수출액도 2015년 기준 약 2,327억원에 그치고 있다.
ㅇ 필수 공공재적 성격을 띠고 있는 의약품시장 역시, 아시아?아프리카(호주 포함) 및 중남미시장을 중심으로, 연평균 5%~10%까지 성장할 전망이다(유럽 1~4% 일본 ?1~2%).
ㅇ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이전, 시장진출 경험 및 각국 보건당국과의 네트워크가 있는 국제기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백신 및 신약개발 투자가 시급한 상황이다.
□ 오늘 세미나를 통해 정부와 게이츠재단, 국제백신연구소 등 국제기구 및 국내기업은 백신 및 신약개발 투자와 글로벌 시장진출 가속화를 위한 글로벌 민관 협력방안과 구체적 사례를 논의하였다.
ㅇ 특히 일본의 GHIT 모델이 상세히 소개되면서, 매칭펀드 형태의 민관 기금 마련 및 개별기업과 R&D~글로벌 시장 진입까지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는 비영리 국제기구 간 협력모델에 대한 심도 깊은 토의가 이어졌다.
◇ GHIT(Global Health Innovative Technology Fund, 글로벌헬스기술진흥기금)
ㅇ 개발도상국용 신약(백신 포함) 및 진단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4월, 정부(후생노동성?외무성), 제약사(다케다, 에자이 등 5개사) 및 게이츠재단이 공동으로 투자하여 만든 약 1천억원 규모의 민관제휴펀드(특별공익법인)
ㅇ ’15.11월 현재, 말라리아, 결핵 및 소외열대질환(NTD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퇴치를 위한 신약 등 연구개발과제(54개)에 5,380만 달러를 투자 중이며, 동 기금 투자 참여기업은 ’13. 5개사에서 ’16. 16개사로 확대
□ 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한국형 글로벌 민관협력펀드’가 출범할 경우, 글로벌 백신?제약 개발 가속화와 관련 산업육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공백신?제약시장에 대한 인도적 지원 확대로 국가이미지 제고도 가능하다”며,
ㅇ “오늘 게이츠재단, 국제백신연구소 및 국내기업 관계자들이 함께 모인만큼, 한국형 GHIT 출범이 조속히 현실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새누리당 박인숙 의원은 축사를 통해, “15년 만에 콜레라가 국내에서 다시 출현하는 등, 기상이변 및 해외여행 증가에 따른 개발도상국 질환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제고되고 있다”며,
ㅇ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국내업계가 국제기구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국제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하고 국가위상을 높일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똑똑한 보건산업 발전전략을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고,
ㅇ 제롬 김(Jerome Kim)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안드레아 루카드(Andrea Lucard) MMV 부사장 역시 인터뷰를 통해 “민관 글로벌 파트너쉽이 주는 유익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며, “저력있는 한국 기업들과 정부의 적극적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오늘 세미나는 9월 8일 발표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16~’20)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2020년 17개의 글로벌 신약 개발 목표 달성에 한국형 민관 협력모델 출범은 핵심 키가 될 것”이라고 설명한 뒤,
ㅇ “이머징마켓으로써 공공백신?제약시장의 동향, 게이츠재단과 같은 해외 연구기금 및 국제기구의 전례없는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을 고려할 때, 지금이 투자의 적기”라며,
ㅇ 한국형 협력모델출범을 위한 국내외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