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정부, 2016년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 Best of Best-10 발표

  • 등록일2016-10-14
  • 조회수3803
  • 발간일
    2016-10-13
  • 출처
    관계부처합동
  • 키워드
    #기후변화대응#바이오연료
  • 첨부파일

 

정부, 2016년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 Best of Best-10 발표
 - 범부처 기후기술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산업 창출 뒷받침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정부의 기후변화대응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성과 Best 10(이하 기후기술 Best 10)을 선정하였다.

 

 ㅇ 정부는 10대 핵심기술* 개발에 715개 과제, 연간 4,833억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 (1) 탄소저감분야 :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연료, 이차전지, 전력IT,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2) 탄소자원화분야 : 부생가스 전환, CO2 전환, CO2 광물화
      (3) 기후변화적응분야 : 공통플랫폼

 

 ㅇ 미래부는 올해 4월 ‘탄소자원화 발전전략’ 수립, 6월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여 과학기술기반의 온실가스 감축을 총괄 지원하고 있다.


 ㅇ 이번에 선정된 기후기술 Best 10은 각 부처가 최근 3년(’14-‘16년)간 지원한 기후기술개발 및 실증모델사업 중 대표 성과로 추천한 후보를 민간 전문가들이 선정한 것으로, 혁신성이 커서 상용화시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성과나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기여가 큰 기술이다.

   - 특히, ’15년 기후기술 Best 10에 비해 참여부처*가 확대(4→7개)되었으며, R&D 성과 뿐만 아니라 개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실증모델사업까지 포함하여 범부처를 아우르는 대표기술을 선정하였다.
    * (’15) 미래·산업·해수·환경부(4개) → (’16) 미래·산업·해수·안전처·농촌진흥청·산림청·기상청(7개)

 

□ 파리 기후협정 연내 비준이 예상됨에 따라,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년 BAU 대비 37%) 달성을 위해 기술혁신은 새로운 감축수단을 제공하거나 기존 감축수단의 비용 효과성을 높이는 역할로 주목받고 있다.

 

□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10대 대표성과를 그 분야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분야, 친환경 자동차 등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하는 분야, 기후변화로 인한 국민 일상생활·산업에 적응하는 분야로 구분 가능하며, 부처 간 연계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ㅇ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재활용하는 분야의 대표 성과는 고성능CO2 포집제 개발(미래부)로 경제성을 확보하고, 해양 저장실증 기술개발(해수부)로 ’20년 100만톤 CO2/연 감축이 가능하다.

   - 또한 국내 억새를 재료로 바이오에탄올 상용화 공정을 개발(농촌진흥청) 중이며, 기존 환경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상태의 물을 활용한 친환경 바이오에탄올 제조기술(산림청)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ㅇ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하는 분야의 주요 성과는?20℃ 저온에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기술개발(산업부) 등으로 전기차 겨울철 배터리 문제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며, 수소차 고내구성 연료전지 개발(산업부)로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자동차 확산에 따라  ’20년 380만톤CO2/연 감축에 기여할 예정이다.
  - 또한 대용량 배터리 저장량을 2배 이상 향상(미래부)시켜 빌딩 등에 효율적인 전력 운용으로 ’20년 8만톤CO2/연 감축이 가능하다.

 ㅇ 기후변화로 인한 국민 일상생활·산업에 적응하는 분야는 강우와 강풍, 적설 등 복합재해 대응기술개발(국민안전처), 농업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개발(농촌진흥청), 2100년까지의 시나리오별 기후변화 정보 산출·제공(기상청)으로 기후변화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 Best-10(무순) >

 

 

대표 성과

연구 책임자

비 고

1

고성능 고안정성 이산화탄소 포집용 흡착제 개발 (미래부)

KAIST 최민기 교수

R&D

2

차세대 대용량 이차전지 활물질 개발 (미래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경희 연구원

R&D

3

EV용 저온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전지 기술개발 (산업부)

벡셀 황인규 상무

R&D

4

시스템 소형화를 위한 가변압력 PEMFC 핵심부품 개발 (산업부)

현대모비스 이현동 이사

R&D

5

CO2 해양지중저장기술개발 (해수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강성길 단장

R&D

6

목재로 친환경 바이오에탄올 제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이수민 연구사

R&D

7

첨단 위치기반의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기술개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심교문 연구사

R&D

8

섬유질계 바이오에탄올 상용화를 위한 파일럿플랜트 단계의 공정기술 개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차영록 연구사

R&D

9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국민안전처)

부산대학교 정주철 교수

실증

10

시나리오별 미래 상세기후변화 정보 산출 및 제공 (기상청)

공주대학교 서명석 교수

실증

 

□ 미래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10.13일(목), 부산 벡스코(BEXCO)에서 ‘2016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우수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여 기후기술 Best 10 성과를 발표하고, 미래부 장관 표창을 수여할 계획이다.

 

□ 미래부는 앞으로도 매년 관계부처와 함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대표적 기술혁신 성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2017년에는 ‘(가칭) 제1회 대한민국 기후기술 대전’을 개최하여 범정부 차원의 과학기술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성과를 대내외에 알리는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1. 관계부처 합동 기후기술 Best 10 관련 인포그래픽
붙임 2. 2016년 기후변화대응 R&D 성과발표회 개최 계획.
붙임 3. 기후기술 Best 10 성과 세부 내용 (별첨).  끝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