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CES 2017 주요이슈 및 정책점검 간담회
- 등록일2017-01-17
- 조회수3640
-
발간일
2017-01-16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소비자가전쇼#CES 2017 주요이슈
- 첨부파일
미래부, CES 2017 주요이슈 및 정책점검 간담회 개최
- 인공지능·사물인터넷·가상현실·자율주행차 등 지능정보사회 핵심기술이 화두
- 지능정보사회 선도를 위한 과학기술·ICT 기반 혁신·융합 가속화 필요성 확인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최양희 장관 주재로 1월 16일(월) 미래부 회의실에서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1월 5일부터 8일까지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인 미국소비자가전쇼(Consumer Electronics Show, 이하 CES) 2017의 최신기술과 신제품 동향 등 주요이슈를 평가·공유하고 관련 정책을 신속히 점검하여 필요시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CES는 그간의 TV, 냉장고 등 전통적인 가전제품 전시회를 넘어서 ICT 산업 전반은 물론 자동차·의료 등 다양한 산업의 ICT 융합을 통한 미래의 모습을 가장 잘 전망할 수 있는 자리로 발전하였다.
□ 이날 간담회에는 CES 2017에 참석했던 산업계와 전문기관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하였으며(참석자 명단 [붙임] 참고),
ㅇ ‘CES 2017 주요이슈 평가 및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주제 발표에 이어 CES에서 부각된 최신 기술·산업 관련 그간의 정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방향 등에 관하여 자유롭게 토론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 이날 주제 발표를 한 박현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융합CP는 “CES 2017의 화두는 지능정보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었다고 진단하면서,
ㅇ 지능정보사회를 이끌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증강현실 포함), 자율주행차 등 첨단기술이 이번 CES의 핵심이었다고 분석했다.
ㅇ 특히, 인공지능·사물인터넷·가상현실 등 ICT 기술이 자체적인 기술혁신은 물론 가전제품·자동차·의료·로봇 등 다른 산업과 융합되어 새로운 제품·서비스가 창출되면서 업종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혁신이 확산되었다고 평가하였다.
□ 참석자들은 이번 CES에서 삼성전자·LG전자 등의 대기업은 물론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의 지원을 받은 크레모텍·망고슬래브·솔티드벤처·네오펙트 등의 스타트업이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하면서,
ㅇ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지능정보사회의 신기술 선점과 융복합 신제품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ㅇ 또한, 이에 대응하여 산업계 등의 스스로의 노력은 물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함께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 최양희 장관은 “CES 2017 등 최근의 글로벌 기술·산업 트렌드를 보면 과학기술과 ICT 기반의 파괴적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ㅇ 이러한 혁신이 지능정보사회, 제4차 산업혁명으로 통칭되는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다“고 진단하고,
ㅇ “미래부는 지난해 관계부처 합동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기술 및 산업의 경계가 파괴되는 융복합 기술혁명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ㅇ “올해는 지난 4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최근의 글로벌 트렌드 등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자율주행차 등 지능정보사회의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혁신과 융합을 더욱 강화해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