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17년 바이오 6大분야 원천기술개발사업 3,157억원 지원
- 등록일2017-02-03
- 조회수3773
-
발간일
2017-02-03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6大분야#원천기술개발사업
- 첨부파일
바이오의 국가 주력산업화를 위한 전략적 R&D-창업촉진 사업 본격 추진한다!
- 2017년 바이오 6大분야(신약, 의료기기, 미래형 의료선도, 창업활성화, 유전체, 뇌과학) 원천기술개발사업에 3,157억원 지원
- Lab To Market을 위한 산·학·연·병원 Open-Innovation 사업 가동
- R&D혁신방안의 현장 착근 위한 성과지향적 연구제도 개선
- 바이오 주력산업화위한 국가전략 상반기 내 수립 예정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미래 유망 기술 확보 및 창의적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바이오분야의 국가 주력산업화를 위해 바이오분야 원천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6대 투자분야별 신규 추진 내용
[2017년도 신규 지원 예산 : 1,344억원]
① (신약) 우리나라 신약개발의 미래 경쟁력 확보 통한 글로벌 성과창출을 위해 “타겟발굴 ~ 후보물질 도출”에 이르는 초기단계 R&D확대 투자(‘17년 신규 340억원)
② (의료기기)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병원과 연계한 산·학·연·병원 컨소시엄형 기술개발 지원(‘17년 신규 240억원)
③ (미래형 의료 선도) 정밀의료, 예방의학, 재생의료 등 융합과 혁신을 기반으로 미래 의료기술의 선도를 위한 다양한 원천기술개발(’17년 신규 304억원)
* 마이크로바이옴(인체공생미생물) 40억원, 슈퍼박테리아 대응연구 30억원, 치의학분야 35억원, 정밀맞춤의학실현 40억원, 고령화 대응 33억원, 줄기세포 163억원 등 신규 지원
④ (바이오 창업활성화) 시장지향적 기술개발을 통해 “Discovery to Market”을 구현하고, ‘기술확보-창업-성장-투자회수-재투자’에 이르는 선순환적 바이오생태계 조성(‘17년 신규 266억원)
* 바이오 I-Corps(20억원), MD-PhD 매칭(24억원), 바이오기업연구자 창업지원(15억원), 바이오 Core-Facility(30억원), 바이오 파트너링 후속지원(22억원), 바이오 SPC사업(60억원) 등 [붙임3]
⑤ (유전체) 유전체 기반의 생명현상 기능 및 기전연구, 글로벌 공동 연구 강화 및 유전체 전문인력 양성(‘17년 신규 49억원)
⑥ (뇌과학) 4대분야(뇌신경생물, 뇌신경계 질환, 뇌인지, 뇌공학) 및 뇌융합(뇌지도, 챌린지기술, AI연계) 등 뇌과학분야 핵심원천기술개발(‘17년 신규 145억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