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 큰 폭으로 성장 중

  • 등록일2017-05-04
  • 조회수3856
  • 발간일
    2017-05-04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건강기능성 식품
  • 첨부파일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 큰 폭으로 성장 중
- 2015년 시장규모 2조 3,291억원, 최근 5년 사이 연평균 8.4% 성장 -

 


◇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조 3,291억원(‘15년 기준), 국민들의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11년 이후 연평균 8.4%의 큰 폭 증가세
    - 품목별 시장규모는 ‘15년 출하액 기준 홍삼제품(6,685억원, 38.6%), 개별인정제품(3,123억원, 18.0%) 순
 ○ 국내 소비자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구입시 주요 고려사항은 주요 원재료(원산지 포함, 35.7%)이며, 선물용으로 주로 구입(66.1%)하고, 비타민(27.4%), 홍삼(19.4%) 제품 등을 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1,179억달러(‘15년 기준)로 추정
 ○ 일본은 ‘15년부터 사업자 책임하에 식품의 건강효과를 제품 전면에 표기할 수 있는 ‘기능성표시 식품제도’를 시행 중
    - ‘15년 446억엔에서 ’16년 1,483억엔으로 3배 이상 시장규모 확대 전망
    -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 및 기능성표시 식품제도 도입으로 일상음식의 건강식품화 진행

◇ 농식품부는 건강기능식품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①기능성 농식품자원 통합 DB 구축, ② 기능성평가 지원센터 활용 원스톱 기능성평가지원체계 구축, ③R&D 지원 확대 등 추진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는 건강기능식품 시장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현황) 국민들의 소득증대로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노후생활이 중시되고 있다.
     * 기대수명 : (1960년) 52.4세 → (2014년) 82.4세


 ○ 이에 따라 국민들의 건강검진율*(만 19세 이상)이 ‘07년 48.6%에서 ’15년 61.3%로 증가하고, 아웃도어 산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최근 2년 동안 건강을 위해 건강검진을 받은 비율(2015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 식품업계에서도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의)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 포함)한 식품’을 말한다.(「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3조제1호)
     * 일반식품과 달리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하여 기능성 원료를 인정함


 ○ 국가별로는 다른 개념과 제도에 의해 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미국(식이보충제), 유럽(식품보충제), 일본(보건기능식품), 중국(보건식품)
 (시장규모) 건강기능식품의 ‘15년도 국내 시장규모는 2조 3,291억원으로, ‘11년 1조 6,855억원 이후 연평균 8.4%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