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발표

  • 등록일2017-06-28
  • 조회수2926
  • 발간일
    2017-06-27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국가R&D 예산
  • 첨부파일
    • hwp 170627 조간 (보도)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발표.... (다운로드 25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6년도 국가R&D 예산 총 19조 44억원 집행
- 기초연구, 중소·중견기업, 여성 지원 꾸준히 늘어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6월 26일(월) 오후 3시 정부과천청사에서 개최된 제29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201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안)」을 보고했다.


□ 조사·분석 결과는 작년(‘16년)에 35개 부·처·청·위원회가 집행한 562개 사업 및 54,827개 과제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 2016년도 국가R&D 집행규모를 보면,


 ○ 총 집행액은 19조 44억원(전년 대비 0.7% 증가)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4.5% 증가하였다.


 ○ 부처별로는 미래부(34.3%), 산업부(18.0%), 방사청(13.2%), 교육부(9.0%), 중기청(5.0%)이 전체의 79.5%를 차지하였다.

 

□ 연구수행주체별로 보면,


 ○ 출연(연)*이 7.8조원(41.2%), 대학이 4.3조원(22.5%), 중소·중견기업은 3.6조원(19.2%), 대기업은 0.5조원(2.6%), 국공립연구소 등 기타는 2.8조원(14.6%)으로 나타났다.


   -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지원은 최근 4년간 연평균 8.5%가 증가하여 동 기간 국가R&D 연평균 증가율(4.0%)의 2.1배에 달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 국가과학기술연구회를 포함한 한국기계연구원 등 26개 기관 부처 직할 출연(연) : 특정연구기관을 포함한 부처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등 45개 기관인문사회계 출연(연) :  경제인문사회 연구회를 포함한 국토연구원 등의 28개 기관


□ 연구개발단계별로 보면,


 ○ 기초연구는 5.1조원(38.9%), 응용연구는 2.8조원(21.0%), 개발연구는 5.3조원(40.1%)이며,


 ○ 기초연구의 비중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6%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 기초연구 비중(%) : (’12년) 33.8 → (’14년) 36.3 → (’16년) 38.9


□ 지역별 집행규모는,


 ○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34.9%(6.4조원), 지방(대전 제외)이 34.5% (6.3조원), 대전이 30.6%(5.6조원)의 순으로,


 ○ 최근 5년간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지방 R&D 집행비중은 꾸준히 증가(’12년 28.5% → ’16년 34.5%)한 것으로 나타났다.


□ 6T 분야*별 집행규모는,


 ○ IT(3.4조원, 19.0%), BT(3.3조원, 18.8%), ET(2.3조원, 12.8%), ST(1.3조원, 7.1%), NT(0.8조원, 4.5%), CT(0.2조원, 1.1%) 순으로 조사되었다.


    * 6T :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생명공학기술(BT: Bio Technology), 나노기술(NT: Nano Technology), 에너지환경기술(ET: Environmental Technology), 우주항공기술(ST: Space Technology),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 연구과제별로 보면,


 ○ 과제 당 평균 연구비는 3.5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1%이다.


 ○ 연구비 구간별 과제 비중은 1억원 미만이 29,610개(54.0%),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이 14,642개(26.7%), 3억원 이상∼5억원 미만이 3,988개(7.3%), 5억원 이상이 6,587개(12.0%)이다.


 ○ 공동(19,853건) 및 위탁연구과제(5,851건)는 총 25,704건으로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공동연구(건) : (’12년) 13,789 → (’14년) 14,096 → (’16년) 19,853
       위탁연구(건) : (’12년) 4,808 → (’14년) 5,114 → (’16년) 5,851


□ 연구책임자를 보면,


 ○ 총 연구책임자 수는 35,249명이며(여성 연구책임자는 5,147명(14.6%)),


   - 최근 5년간 여성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여성 연구책임자 비중(%) : (’12년) 11.6 → (’14년) 13.1 → (’16년) 14.6


 ○ 연구책임자 1인당 평균 연구비는 4.3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0.9%로 나타났다.


 ○ 연구책임자의 연구비 분포를 보면 6,341명(18.0%)이 5천만원 미만, 8,786명(24.9%)이 5천만원 이상∼1억원 미만, 14,074명(39.9%)이 1억원 이상∼5억원 미만, 6,048명(17.2%)이 5억원 이상으로 집계되었다.


□ 이번 조사 결과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심의 결과를 반영하여,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http://www.ntis.go.kr)와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을 통해서 제공될 예정이다.

 

 

<붙임>

 

1. 201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전년대비 비교
2. 201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요약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