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7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 등록일2017-07-05
  • 조회수2934
  • 발간일
    2017-07-04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최고과학기술인상
  • 첨부파일
    • hwp 170704 조간 (보도) 2017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다운로드 16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7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시스템대사공학’ 창시, 최초?최고 원천기술 개발)
?황규영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특훈교수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분야 혁신적 이론 및 기술 개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김명자)는 2017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이상엽(53세)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와 황규영(66세)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특훈교수를 선정하였다.
 
□ 이상엽 교수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시하고 세계 최초?최고의 원천기술을 다수 개발하여 우리나라 생명공학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드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시스템대사공학) 미생물의 유전자를 체계적으로 분석?설계하여, 이들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물질과 연료 등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
 
 ㅇ 이 교수는 기존 대사공학에 합성?시스템 생물학 등을 결합한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안하여 새로운 학문?연구를 개척하고 관련 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는 등 생명공학의 학문적?기술적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ㅇ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한 휘발유 생산, 바이오 부탄올 생산 공정, 나일론과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균주,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최초?최고의 원천 생산기술을 손으로 꼽기 어려울 만큼 다수 개발함으로써 세계 응용생명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ㅇ 한편, 이 교수가 창시한 ‘시스템대사공학’은 세계경제포럼의 ‘2016년 세계 10대 유망 기술’에 선정된바 있으며, 이 교수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의 ‘2014년 세계 최고응용생명과학자 20인’에 선정되고 제임스 베일리 상*('16년), 마빈 존슨 상**('12년) 등 세계적인 상들을 아시아인 최초로 수상하기도 하였다.
 
    * (제임스 베일리상) 세계생물공학회와 미국화학공학회가 생물공학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끼친 연구자를 매년 1인 선정하여 시상('05년 제정)
 
   ** (마빈 존슨상) 미국화학회가 미생물 및 생명화학공학분야에서 가장 탁월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를 매년 1인 선정하여 시상('78년 제정)
 
□ 황규영 교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획기적인 이론을 제시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컴퓨터공학은 물론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정보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ㅇ 황 교수는 그간 확률적 집계*, 다차원 색인?질의**, 데이터베이스와 정보검색의 밀결합*** 등 혁신적 이론과 기술을 개발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야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을 뿐 아니라, 후속 연구 및 기술개발에도 활발하게 인용?활용되어 정보기술의 학문적?기술적 발전에 꾸준히 기여해 왔다.
 
    * (확률적 집계) 오차 한계를 만족하면서 빠른 시간내에 데이터 중 유일한 속성 값의 개수를 얻는 통계적 방법
 
   ** (다차원 색인?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속성들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해 효율적으로 질의를 처리하는 구조, 방법
 
  *** (밀결합) 정보검색, 공간데이터베이스 기능을 데이터베이스 엔진 깊숙이 내장하여 높은 성능을 성취하는 방법
 
 ㅇ 또한, 황 교수가 개발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오디세우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응용*되어 인터넷문화 발아기에 “1초내 검색”의 기술혁신으로 우리나라 인터넷 정보 문화의 형성?확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우리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과 자립화에 기여하였다.
 
    * (오디세우스 활용?응용) '90년대 말 우리 대표 인터넷기업의 빠른 검색기능에 활용, 후학들에 의해 국산 대표 DBMS 및 휴대폰 임베디드 DBMS 개발 등에 응용
 


 ㅇ 한편, 황 교수는 국내 전산학 분야 최초로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종신석학회원('16년), 미국컴퓨터학회(ACM) 석학회원('09)에 선임되고, 국제 최고권위의 데이터베이스 분야 저널(The VLDB Journal) 수석편집장, 학회(IEEE Technical Committee on Data Engineering) 회장 등을 역임하는 등 세계적인 석학으로서 국제학술계를 리드하여 우리나라 전산학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업적이 뛰어난 과학기술인을 발굴하여 명예와 자긍심을 높이고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03년부터 시상해 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인을 위한 상이다.
 
 ㅇ 그 동안 이 상을 수상한 과학기술인은 총 38명으로 자연(이학) 14명(36.8%), 생명(의약학, 농수산) 13명(34.2%), 공학 11명(28.9%)이며, 이 상의 수상 등을 통해 연구개발에 매진하여 국가발전 및 국민 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ㅇ 올해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올해 초부터 후보자 공모 및 추천에 착수하여 총 24명의 후보를 접수하고 3단계 심사과정(전공자심사?분야심사?종합심사)을 거쳐 최종 2명을 선정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오는 7월 7일(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는 2017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개회식에서 수상자들에게 대통령 상장과 함께 부상(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붙임】 1. 2017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공적 요약
          2.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개요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