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질병· 유해물질 정밀 진단용 미세유로 소자의 상용화 추진
- 등록일2017-07-18
- 조회수2785
-
발간일
2017-07-18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세유로
- 첨부파일
질병· 유해물질 정밀 진단용 미세유로 소자의 상용화 추진
- 연구소 기업「㈜네오나노텍 연구소」창업 -
□ 유영은 박사(한국기계연구원) 연구팀이 질병 및 독감 병원균 등을 신속?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플라스틱 미세유로 소자” 제작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위해 7월 17일(월) 연구소기업「㈜네오나노텍」을 창업한다고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유영민)는 밝혔다.
o 플라스틱 미세유로 소자(Microfluidic device)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유로와 극소량의 액상시료를 이용하여 혈중 암세포 선별 등 질병을 정밀하게 진단하는 소자이다.
o 기존 제작기술은 미세유로 변형 등이 빈번히 발생하여 양산성이 낮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로의 변형 없이 정밀하게 소자를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소자보다 양산성이 5~10배 향상 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 한국기계연구원 유영은 박사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했고, 이 연구결과는 10여건의 국내특허를 확보(‘16. 12월)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2개국에 국외특허를 출원(‘16. 2월) 하였다.
o 또한 국내 민간 기업에 2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하였으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이 본격적인 제품화로 이어지게 되면 향후 연간 87억 달러**로 예측되는 국ㆍ내외 시장 확보를 추진하여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 혈액순환종양세포(CTC : Circulating Tumor Cells) 선별을 위한 나노/ 마이크로 구조 소자 및 나노복합소재 응용제품 성형 및 제작기술(‘15. 5. 22., 2천만 원), 약물정량 주입기용 마이크로 채널 소자 및 제작 기술(‘16. 5. 16., 5천만 원)
** 2013년 Frost & Sullivan, ‘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 보고서 인용
【붙임】 1. 창업내용
2. 미소유로 소자 원리 설명
3.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 및 연구과제 개요
4. 연구진 이력사항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