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1만개 창출

  • 등록일2017-09-06
  • 조회수3075
  • 발간일
    2017-09-0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성과 기반#실험실 일자리
  • 첨부파일
    • hwp 170906 조간 (보도)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1만개 창출.h... (다운로드 51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1만개 창출

- 기술 사업화 과정 및 결과에 따른 고급일자리 창출 선포식 개최 - 
- 과학기술기반 고급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학의 역할 논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9.5.(화) 13:30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 창출 선포식」을 개최하면서,


 ㅇ 그동안 정부 연구개발(R&D)투자를 통해 대학·출연(연) 실험실 내에 축적된 과학기술 연구성과가 기업성장과 기술창업으로 이어져 고급일자리 1만개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주요 유관기관*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일자리’란 정부 R&D 성과물의 기술이전·창업 등 사업화를 통해 창출된 일자리 뿐 아니라, 후속R&D, 사업화모델 마련 등 기술사업화 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자리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ㅇ 이는 종전의 기술이전 및 기술료 관점에서 연구성과를 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기초원천 연구개발에서 나온 우수 결과물이 기술사업화 활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고급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ㅇ 그간 주요 기술사업화기관*의 기술사업화 과정 및 결과에서 창출된 일자리 성과를 바탕으로 중기재정계획 및 일자리 추세 등을 고려하여 향후 5년간 도전할 목표치(1만개)를 제시하였다.


   *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출연(연) TLO, 대학기술경영센터(TMC), 수요발굴지원단+기업공감원스톱서비스센터(SOS1379), 공동기술지주 등


 ㅇ 실험실에서 나온 연구성과를 기술사업화하기 위해서는 ▲ 기초원천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을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성숙시키는 ‘후속 R&D’, ▲ 시장분석, 대상고객 설정 등을 지원하는 ‘사업화 모델 구축’, ▲ 기술박람회 등을 개최하여 기업과 기술보유 연구자를 서로 찾아주고, 협업하도록 도와주는 ‘마케팅’, ▲ 지식재산권(IP) 전략 수립, 사업 노하우 전수 등을 지원하는 ‘멘토링’, ▲ 기술창업 및 기업성장 자금을 지원하는 ‘펀드’ 등의 체계적인 활동들이 필요하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