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7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등록일2017-09-21
  • 조회수3346
  • 발간일
    2017-09-2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 첨부파일

 

 2017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우수성과 100선 및 기술이전?사업화 실적 우수기관 10선 선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했다.


 ㅇ 국가 경제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정부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개발과제 총 5만 4천여 과제 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784건의 후보 과제를 추천(‘17.2.13~3.24)받아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의 심사과정을 거쳤다.


     * 위원장 이학성((주)LS 사장), 각 분야별 심사위원 총 103명


 ㅇ 선정위원회는 과학기술 개발효과*와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기준으로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고 대국민 공개검증(‘17.8.10~8.30)으로 우수성과 100선***과 기술이전·사업화·창업 우수기관 10선, 총 110선을 선정했다.

 

     * 기술개발 목표달성도, 기술수준 향상효과, 기술개발 촉진효과

    ** 경제 활성화 효과, 시장창출 효과, 경제사회 기반효과 등

   *** 기계·소재 분과 18개, 생명·해양 분과 23개, 에너지·환경 분과 19개, 정보·전자 분과 18개, 융합기술 분과 11개, 순수기초·인프라 분과 11개


□ 우수성과로 선정된 사례 중에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 다양한 성과를 도출한 ‘대용량 소셜 및 정보 네트워크 빅 데이터 마이닝 기술 개발’ 성과가 있다. 동북아 수출용 품종 개발과 상업화를 이룬 ‘고기능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토마토 품종 개발’과 사물인터넷의 전원 분야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프린팅 공정 기반 사물일체형 플렉서블 이차전지 개발’ 성과도 포함되어 있다.

 

 ㅇ 우수성과로 선정된 과제는 해당사업과 기관 평가에서 가점이 부여되며, 해당 연구자는 신규 연구개발(R&D) 과제 선정에서 우대받을 수 있다.

 

 ㅇ 최우수 성과에 대해서는 연말에 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포상과 장관표창에서 우선 반영한다. 또한, 과학잡지 기획기사를 활용한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 우수 연구개발(R&D) 성과의 창출 견인과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과기정통부는 지속적으로 우수 R&D 성과를 발굴하여 국민들에게 알리고, 과학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할 계획”이라며, “발굴된 우수성과가 과학저변에 파급되어 새로운 과학기술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우수성과 선정 결과는 핵심 기술의 내용, 해당기술의 파급효과, 연구 후일담 등과 함께 사례집으로 발간되어 국회 및 공공기관과 주요 도서관, 연구기관에 배포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www.ntis.go.kr)의 ‘우수성과’ 코너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 

 

 

【붙임】1. 우수성과 사례
        2. 우수성과 100선 인포그래픽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