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기후변화 문제의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을 논하다

  • 등록일2017-10-19
  • 조회수2851
  • 발간일
    2017-10-18
  • 출처
    해양수산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블루카본
  • 첨부파일
    • hwp 171019(조간) 기후변화 문제의 새로운 대안‘블루카본’을 논하다(... (다운로드 9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기후변화 문제의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을 논하다

- 19일(목) 블루카본 국제심포지엄 개최, 신규 탄소흡수원 인증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국내외 블루카본* 관련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신규 탄소 흡수원으로 인증받기 위한 공조체계를 구축하고자 19일(목) 서울 쉐라톤 팔래스 호텔에서 ‘2017 블루카본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블루카본(Blue Carbon) : 갯벌, 잘피, 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포함한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 /  cf. 산림에 저장되는 탄소는 그린카본이라 함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는 본 행사는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해양생태계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기후변화 및 해양생태계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국내외 전문가 및 정부?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우리나라와 호주, 중국 등의 블루카본 연구 현황과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블루카본 기술 개발의 현주소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전문가인 영국 뱅거대 케네디(Kennedy) 교수 등 국제적인 석학이 참석하여 탄소 흡수원으로서연안습지의 역할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주제발표 후에는 블루카본이 신규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기 위한 국가 간 공조체계 구축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블루카본은 아직 국제협약 상의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지는 못하였으나 각국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추진하고 있어 가까운 시일 내에 새로운 흡수원으로 인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세계 5대 갯벌(전체 면적 2,495㎢) 등 풍부한 블루카본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개발 잠재력이 높으며,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5년 간 100억원을 투입하여 ‘블루카본 평가체계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17~‘21)’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블루카본이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게 되면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은 “그간 육상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온실가스 관리체계의 저변을 해양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의 논의를 통해 블루카본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고, 빠른 시일 내에 정식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관심국들과의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