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가뭄에도 잘 자라는 벼 육종소재 개발
- 등록일2017-11-01
- 조회수3516
-
발간일
2017-11-01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가뭄#벼
- 첨부파일
가뭄에도 잘 자라는 벼 육종소재 개발
- 농촌진흥청, 가뭄 저항성 가진 육종소재 개발로 신품종 벼 육성 기반 마련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봄철 가뭄과 기상이변에 따른 농업용수 부족에 대비해 가뭄에 강한 벼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소재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육종소재는 밥쌀용 품종 ‘낙동벼’에 통일형 품종 ‘삼강벼’의 유전자를 교배한 가뭄 저항성 계통(‘SNDH-42’)이다.
또한, 분자표지마커1)를 이용해 가뭄 저항성 계통의 조기선발 및 교배와 육종을 통한 신품종 개발 기반도 마련했다.
이 육종소재는 모내기 후 생육 초기에 가뭄이 들더라도 벼의 원줄기 분화가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다.
벼 생육 초기에 가뭄이 들면 가뭄에 민감한 품종은 벼 생육에 필요한 원줄기 분화가 50% 이상 감소하지만 가뭄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좌2) 3개가 벼 품종에 포함돼 있으면 감소율이 약 15%로 낮아진다.
이번에 개발한 육종소재도 가뭄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좌를 3개 포함하고 있어 재배안정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논이용작물과 오명규 과장은 “현재 고품질 벼 품종 ‘새일미’와 ‘삼광’ 등을 기반으로 한 가뭄 저항성 육종소재 연구도 진행 중이다.”라며 “봄철 심각한 가뭄이나 농업용수 부족에 한 발 앞서 대응할 수 있도록 가뭄 저항성 벼 품종 개발에 힘쓰겠다.”라고 강조했다.
--------------------------------
1) 자표지마커(分子標識-marker): 표현형으로 나타나는 DNA 단편, 또는 염기서열을 알고 있는 DNA 단편을 나타내는 지표(指標)
2) 유전자좌(QTL): 특정 형질의 표현형 다양성과 연관되어 이는 DNA 단편 또는 위치
*2016년 3종 개발에 이어 2017년 3종 개발(2016년 3종 개발은 산업재산권 등록-등록번호 10-1784161)
[문의] 농촌진흥청 논이용작물과장 오명규, 논이용작물과 조수민 055-350-117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