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8년 다부처 연구개발(R&D) 공동기획사업 추진방향 발표

  • 등록일2017-11-08
  • 조회수3101
  • 발간일
    2017-11-0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다부처 연구개발(R&D)
  • 첨부파일
    • hwp 171108 조간 (보도) 2018년 다부처 연구개발 공동기획사업 추진방... (다운로드 23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8년 다부처 연구개발(R&D) 공동기획사업 추진방향 발표
 - 온라인 수요조사, 공청회를 통해 기획단계부터 다양한 의견 수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7일(수) 오후 2시부터 ‘2018년 다부처 연구개발(이하 ’R&D‘) 추진방향 설명회를 개최하여, 2018년도 계획을 설명하고, 현재 진행 중인 11건의 공동기획연구에 대해 의견을 수렴했다.
 
 ㅇ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은 R&D 분야의 부처 간 협업과 기술간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 3개 이상의 부처가 공동 기획하는 사업이다. 2013년부터 추진하여 현재 총 13개의 공동기획사업을 운영 중이다.[붙임 1]
 
【2018년 다부처 R&D 추진 방향】
 
□ ’18년에는 미래대비와 사회문제해결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 먹거리 발굴을 중점 추진 할 계획이다.
 
 ㅇ 수요발굴은 2018년 2월부터 실시한다. 정부계획과 사회현안을 분석해 선정하는 하향식과 국민?부처 수요를 조사하고 선정하는 상향식(공모)을 병행해 추진한다.
 
 ㅇ 발굴된 수요는 다부처 추진 필요성과 정부지원 타당성을 중점 검토하여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사전기획연구(2개월 내외)와 공동기획연구(4개월 내외)를 실시한다.
 


 
□ 기획연구 시에는 과제별로 공청회를 개최하여 연구내용을 논의하고, 정기적인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진행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진행 중인 공동기획연구 산학연 의견 수렴】
 
□ 이날 행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공동기획연구 11건을 발표하고, 산학연 의견을 수렴했다.[붙임 2]
 
 ㅇ 11건의 연구는 정밀재활치료 등 미래대비 분야 6건과 고령농어업인 소외·우울 환경 모니터링 등 사회문제 해결 분야 5건이다.
 
  ※ <미래대비> 정밀재활치료, 지능형 측위시스템, 재해 모니터링, 시설원예용 농업로봇, 마이크로바이옴 뱅크, 항생제 내성균
<사회문제 해결> 고령농어업인 소외·우울 환경모니터링,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청소년 자살예방 관리기술, 실내환경 토탈솔루션, 취약계층 안전 케어 서비스
 
 ㅇ 방연호 성장동력기획과장은 “다부처 R&D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획단계부터 수요자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늘 설명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는 이번 설명회를 시작으로 12월까지 11개 과제 별로 공청회를 실시하고, 공동기획연구를 내년 1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붙임 3]
 
  ※ 과제별 공청회 세부 일정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02-589-2190으로 문의
 
 ㅇ 공동기획연구 종료 후에는 다부처공동기획사업특별위원회에서 최종 공동기획사업을 선정한다.
 
붙임 1. 다부처공동기획사업 개요
       2. 2017년도 하반기 다부처 공동기획연구 설명회 개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