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인재상 알아본다!
- 등록일2017-11-09
- 조회수4155
-
발간일
2017-11-0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4차 산업혁명
- 첨부파일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인재상 알아본다!
- 미래 인재상, 교육과정 등의 논의를 위한‘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정책토론회 개최 -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미래 일자리는 어떻게 변화하고 우리 사회는 어떠한 인재를 요구하게 될까?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 일자리를 예측하고 필요한 기술?지식을 도출하여 국민에게 제시하기 위해 ‘내일은 여기서 TF’를 운영하고 있으며, 미래 일자리 변화와 연계된 인재상과 핵심역량 도출을 위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는 11월 8일(수) 오후 3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내용을 중간발표하고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했다.
□ 첫 번째 발제자인 중앙대 송해덕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이를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시했다.
ㅇ 송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의 양상을 토대로 의사소통, 창의성, 협력, 비판적 사고, 융합능력이 핵심역량이라고 분석하고 소프트웨어교육, 창의·융합교육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특화된 교육이 중요함을 언급했다.
ㅇ 또한 기존 학교 교육과정 내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모듈형 학습과정, 일명 ‘마이크로 스쿨*’의 도입으로 학교 교육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마이크로 스쿨 : 학교안에 학교(a school-within-a-school)로 새로운 학습도구와 전략으로 학교에 새로운 교육모델을 작은 단위에서 적용하는 교육 혁신 아이디어임
□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경인교대 이재호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ㅇ 이재호 교수는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를 다각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창의?융합역량, 소프트웨어역량 등을 겸비한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재의 모습을 구체화했다.
ㅇ 또한 실제적인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특징에 부합하도록 교육 기반을 확충 및 재정비하고, 핵심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 한편, 이어서 진행된 종합 토의에서는 좌장인 숭실대 전주성 교수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에 대해서 파악해 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의 교육이 변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ㅇ 특히 주입식 교육을 탈피한 사고력?문제해결 능력 신장, 핵심인재 양성방안 및 개인 맞춤형 교육환경 마련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송명석 팀장은 “현재와 미래 직업 간 역량 갭을 도출하면서 미래 사회 필요한 교육?훈련을 알아볼 계획”이라고 언급하면서,
ㅇ “앞으로 ‘내일은 여기서 TF’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 확대, 디지털교육 인프라 확충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 「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정책토론회 개요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