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청사진 나왔다

  • 등록일2017-11-21
  • 조회수3186
  • 발간일
    2017-11-2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책
  • 첨부파일
    • hwp 171121 조간 (보도)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청사... (다운로드 23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청사진 나왔다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18~’22) (안)‘ 토론회 개최
 -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3대 전략 9대 중점과제 제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21일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전략(안) 토론회를 개최하여,
 
  ㅇ 향후 5년간의 지역과학기술정책 청사진을 담은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안)」을 논의한다.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18~’22) (안)」은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범부처 종합 계획으로서,
 
  ㅇ 지역의 과학기술정책을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방정부 주도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이를 위한 3대 전략과 주요 과제들은 다음과 같다.
 
 ①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을 구축한다.
 
     ▲ 국가지원 주요 지역 연구개발(R&D)사업을 포괄보조금으로 전환 (분권화 추진에 따라 단계적 지방이양)하고, 지역혁신기금 신설을 추진하는 등 지역의 R&D 투자결정권을 강화한다. ▲ 지역 과학기술컨트롤타워 및 R&D 싱크탱크를 구축하고, 지역 R&D 조사·분석 시스템을 체계화한다. ▲ 부처별로 산재된 지역 R&D 사업에 대한 통합적인 정책-예산-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앙정부의 지원체계를 개선한다.
 
 ②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을 극대화한다.
 
     ▲ 연구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지방 대학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해 수요기반 인력 양성을 확대하고, 과기특성화대학의 지역 연계를 강화한다. ▲ 지역과 유리된 출연(연) 및 이주 공공기관의 지역연계형 R&D투자를 강화하고, 시민참여 기반 사회문제해결형 R&D를 확대한다. ▲ 기술개발 역량이 낮은 지역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수요견인 R&D 및 오픈 이노베이션형 R&D 도입 등을 추진한다.
 
 ③ 지역혁신 성장체계를 고도화한다.
 
     ▲ 양적으로 확대된 산학협력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설립 등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 수도권에 비해 기술사업화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에 전주기 기술사업화 지원 등을 통하여 지역의 기술사업화 및 성과창출을 촉진한다. ▲ 양적으로 확대된 지역 클러스터의 내실화를 위해 우수 혁신클러스터 인증제를 도입하여 혁신클러스터를 고도화한다.
 
□ 과기정통부는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전략(안)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하여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18~’22) (안)」을 12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본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붙임 :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전략(안) 토론회 개최계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