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 뇌연구 비전 및 전략 마련
- 등록일2017-11-28
- 조회수3239
-
발간일
2017-11-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첨부파일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 뇌연구 비전 및 전략 마련
-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27일(월)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는 1998년부터 뇌연구촉진법에 따라 관련 부처(과기정통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의 뇌연구 촉진계획을 종합·조정하여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해 오고 있다.
□ 이번 공청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반기술 가운데 하나인 뇌과학의 향후 10년간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를 포함하는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수립(안)」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하였다.
ㅇ 공청회에는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을 비롯하여, 관련 부처, 뇌연구 관련 연구기관, 학회 및 연구자 등 약 150여명의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며, 제3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 초안에 대한 발표와 패널토론 및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은 제2차 기본계획(’08~’17)*을 통해 확보된 성과*를 바탕으로 혁신적 뇌융합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여 뇌연구 신흥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 (투자 성과) ’08년 493억원 → ’17년 1,367억원으로 뇌연구 분야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약 2.7배 규모 증가
* (연구 성과) ’16년 기준 SCI, SSCI급 논문수는 3,359건(세계10위), 특허는 78건(세계6위)으로 꾸준히 성장
* (뇌연구 전문기관) 한국뇌연구원 및 KIST 뇌과학연구소(‘11년), IBS 3개 연구단(’12년) 설립
ㅇ 이런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뇌연구 확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뇌연구 강화’, ‘미래를 대비하는 창의적 뇌연구 확산’을 3대 중점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 기본계획(안)은 50여명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위원회에서 작성되었으며, 그동안 포럼 및 1차 공청회, 홈페이지 개설 등을 통한 연구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였다.
ㅇ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은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되는 의견을 검토?반영하여 뇌연구실무추진위원회와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2018년 1분기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는 “뇌과학은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미래성장동력 에너지로 앞으로도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으로 이번 제3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새로운 미래사회에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붙임】 1.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공청회 개최 포스터
2.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개최 계획 (안)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