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과학기술, 전통문화의 미래를 그리다
- 등록일2017-12-11
- 조회수3075
-
발간일
2017-12-08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전통문화
- 첨부파일
과학기술, 전통문화의 미래를 그리다
- 과기정통부, 12월 8일「전통문화융합연구 성과공유워크숍」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8일 동대문 JW 메리어트 스퀘어에서 ‘전통문화융합연구사업 성과공유 워크숍(주제 : 과학기술, 전통문화의 미래를 그리다)’을 개최한다.
ㅇ 과기정통부는 2016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전통프리미엄 창출전략’을 발표(국가과학기술심의회, ’16. 6월)했고, 전통문화 산업계가 겪는 기술적 한계 극복 및 인간·생활·환경 친화적인 신(新)산업 창출을 위해 노력해왔다.
ㅇ 이번 워크숍은 본 전략에 따라 추진 중인 ‘전통문화융합연구사업’의 성과 공유 및 연차점검을 실시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주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통르네상스지원단
ㅇ 그간 소수의 전문가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연차점검에서 벗어나, 참여 연구자, 전통문화산업체 관계자 및 일반 국민들에게도 성과내용을 공개ㆍ공유함으로써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전통문화산업 육성에 필요한 연구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 이번 행사에서는 전통문화산업의 연구개발 기술조사를 바탕으로 2016~2017년에 선정된 7개의 과제의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연도별 선정된 7개 과제(연구단)>
과제명 |
연구책임자 |
주관기관 |
연구비 (백만 원) |
비고 |
전통 공예, 건축 소재 기반 스마트 3D 프린팅용 소재 개발 |
문명운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000 |
2016년도 선정과제 |
전통 제철기술을 활용한 고강도·고인성 다층구조 소재 개발 및 상품화 |
조남철 |
공주대학교 |
1,000 | |
한국형 글로벌 장 건강 프로젝트 |
정도연 |
(재)발효미생물 산업진흥원 |
1,000 | |
전통문화산업 R&D Platform 구축 |
홍경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000 | |
녹슬지 않는 유기 개발 |
김긍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450 |
2017년도 선정과제 |
복합종균 기반 차세대 전통 발효장류 개발 |
전체옥 |
중앙대학교 |
500 | |
DTP용 천연잉크 제조 및 디지털 프린팅 공정기술 개발 |
박윤철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450 | |
합계(7개 과제) |
5,400 |
|
※ 과제별 연구내용 “붙임 2” 참조
ㅇ 주요 성과로는 그동안 단절되었던 명유*를 복원하고 개량한 환경친화적인 ‘크린명유’, 전통한옥에 사용할 수 있는 ‘3D프린팅을 활용한 스마트 소재’, 가볍고 녹슬지 않는 ‘유기’, 짜지 않은 ‘청국장’, 전통 제철기술을 복원한 ‘다층구조의 칼’, 천연염재를 사용한 ‘디지털프린팅용 천연잉크’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붙임 3참조)
* 생들깨 기름에 산소와 열을 가열하여 생성한 친환경 목재 및 종이 보호용 천연 니스
ㅇ 과기정통부 김정원 기초원천정책관은 “앞으로도 산학연 간의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전통문화산업의 고부가가치형 신제품ㆍ시장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자생적 기술 생태계가 조성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