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16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결과 발표
- 등록일2017-12-12
- 조회수3075
-
발간일
2017-12-11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여성과학기술인력
- 첨부파일
2016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결과 발표
- 신규채용 및 재직비율 상승 추세, 여성보직자 비율 지속 확대 필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소장 한화진, 이하 ‘WISET’)는 여성과학기술인의 육성·지원을 위한 기초자료인 ‘2016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실태조사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이공계 대학, 공공연구기관 및 상시 근로자 100인 이상 민간기업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다.
ㅇ 이번 실태조사에는 이공계 대학 286개, 공공(연) 196개, 민간(연) 4,005개 등 총 4,487개 대상기관 중 3,703개 기관이 참여했다.
ㅇ 주요 조사내용은 여성과학기술인의 △재직 △채용 △보직·승진 △교육·훈련 △연구개발 활동 △일?가정 양립 지원 등 복지제도 운영현황 등에 관한 통계를 담고 있다.
□ 과기정통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최근의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를 실태조사에 반영하기 위해 앞으로 세부 조사항목 등을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여성과학기술인 활용 현황 및 조치계획
□ (재직여성) 재직 여성과학기술인의 규모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특히 정규직 재직여성의 규모와 비율이 모두 증가
※ 재직여성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
: ’06년 29,739명(16.1%) → ’10년 36,360명(17.3%) → ’16년 46,269명(19.3%)
※ 재직여성 정규직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
: ’06년 12,154명(9.4%) → ’10년 16,834명(11.4%) → ’16년 27,608명(14.9%)
? (조치계획) 연구개발 분야의 정규직 여성의 채용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 필요
□ (신규채용 여성) 여성과학기술인의 신규채용 규모와 비율은 증가 추세
※ 신규채용 여성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
: ’06년 4,150명(22.8%) → ’10년 5,253명(22.1%) → ’16년 5,598명(27.0%)
□ (보직자 여성) 과학기술분야의 여성 보직자 규모와 비율은 증가 추세이나 여전히 10% 이하로, 리더급 여성의 진출 저조
※ 보직자 여성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
: ’06년 1,645명(6.3%) → ’10년 1,902명(6.8%) → ’16년 3,173명(8.6%)
? (조치계획) ’18년까지 중간 관리자 이상 여성 보직자 목표(10%)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 필요
□ (승진자 여성) 승진자 여성의 규모와 비율 모두 증가 추세이며, 특히 최근 5년 간 큰 폭으로 증가
※ 승진자 여성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07년부터 민간기업 포함 조사 실시)
: ’07년 825명(7.5%) → ’10년 997명(10.3%) → ’16년 1,683명(15.9%)
? (조치계획) 중견 여성 관리자 확대를 위해 기관별 승진 확대 권고 등의 지속 노력 필요
□ (연구책임자 여성) 여성 연구책임자 비율은 8.8%로 ’06년 이후 꾸준히 증가
※ 연구책임자 여성 규모(비율) 연도별 변화 추세
: ’06년 5,847명(6.9%) → ’10년 6,466명(7.3%) → ’16년 8,701명(8.8%)
여성과학기술인 인프라 구축 현황
□ (제도운영) 일(연구)·가정 양립을 위한 법적 의무제도*와 자율적 제도** 운영률은 ’10년도 이후 꾸준히 상승 추세에 있고, ’16년에는 전년 수준 유지
* 출산전후 휴가, 임신여성보호, 유사산휴가, 육아휴직, 수유시간 보장, 배우자 출산휴가(남성)
** 불임휴직제, 수유시설 운영, 대체인력, 탄력?재택근무제, 일반휴직, 휴게실
※ 법적 제도 운영률: ’10년 72.7% → ’15년 94.3% → ’16년 94.2%
※ 자율적 제도 운영률: ’10년 42.3% → ’15년 51.0% → ’16년 48.3%
? 전체적으로 법적·자율적 제도 운영률은 지속적으로 일정 수준을 유지
□ (보육시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가 있는 기관의 설치 비율은 ’10년 이후 상승 추세
* 상시 여성근로자 300명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을 고용하는 사업장
※ 직장어린이집 설치 비율(설치의무 해당기관)
: ’10년 54.7% → ’15년 61.4% → ’16년 63.7%
? 직장어린이집 설치 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이나 민간(연)의 경우 보육시설 설치 비율이 공공(연)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므로, 비용·장소 등 보육시설 설치 지원 확대 필요
※ 기관 유형별 법적 제도 운영률 : 공공(연) 95.3% > 이공계대학 90.3%
※ 기관 유형별 자율적 제도 운영률 : 공공(연) 80.0% > 민간(연) 46.7%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현황
※ 본 통계는 한국교육개발원 발간 교육통계연보(’06~’16년) 자료 활용
□ (이공계 입학) 전문학사 이상의 자연·공학계열 입학생 중 여학생 규모는 최근 몇 년 간 일정 수준 유지
※ 이공계 입학 여학생 수: ’06년 69,063명 → ’10년 69,417명 → ’16년 70,230명
? 여학생 공학계열 입학규모 및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나, 향후 멘토링 사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우수인재의 이공계 유입 확대 필요
□ (이공계 재학) 전문학사 이상 자연·공학계열 재학생 중 여학생 규모는 ’10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
※ 이공계 재학 여학생 수: ’06년 215,630명 → ’10년 215,440명 → ’16년 235,201명
□ (공학 전공) 모든 학위과정에서 공학계열 여학생의 입학, 재학, 졸업 비율이 꾸준히 상승
※ 공학계열 입학·재학·졸업 여학생 수(합산)
: ’06년 150,195명 → ’10년 143,476명 → ’16년 174,516명
□ (취업률) 이공계 여학생의 졸업 직후 취업률은 최근 3년 간 일정 수준 유지
※ 이공계 여학생의 졸업 직후 취업률
: ’13년 65.4% → ’14년 64.7% → ’15년 65.3%
□ (석·박사 배출) 이공계 여성 석·박사 졸업자는 ’06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
※ 석사 졸업자 여성 수(비율)
: ’06년 4,218명(22.6%) → ’10년 4,999명(25.8%) → ’16년 5,990명(29.8%)
※ 박사 졸업자 여성 수(비율)
: ’06년 706명(18.5%) → ’10년 893명(21.6%) → ’16년 1,250명(20.4%)
붙임 : 2016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결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