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 논의
- 등록일2017-12-20
- 조회수3046
-
발간일
2017-12-19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 첨부파일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논의
-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논의-
◈ 헬스케어분야 산·학·연 전문가 21명과 관계부처 합동 참여
◈ 4차산업혁명 대응계획(11.30.)에 포함된 △맞춤형 의료, △융합의료기기 △AI기반 신약개발 혁신 등 『스마트의료』이행계획 마련에 집중
□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 이하 ‘위원회’)는 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이하 ‘특위’)를 구성하고 12월 19일(화)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장병규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우수한 의료 인력과 의료기술, 의료-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헬스케어 분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해나갈 잠재력이 충분하고,
* 암생존률, 간이식분야 세계 최고수준 기술력 보유, 전자의무기록보급율 92%
ㅇ 헬스케어는 세계시장의 고속 성장과 파급력있는 융합이 예상되는 분야로 국민 건강 증진·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사람중심 4차 산업혁명 구현이 가능하다.”라고 특위 출범 배경을 설명하였다.
* 전세계 비즈니스 리더 622명 중 45% 4차산업혁명의 가장 큰 수혜분야로
헬스케어를 꼽음(Economist Intelligence Unit, Unit Flash poll, 2016)
□ 특위는 박웅양 성균관의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맞춤의료·혁신의료기기 등 헬스케어 분야 산학연 전문가 16명과 위원회 위원 5명이 참여하게 된다.(붙임2참고)
ㅇ 또한, 4개 관계부처(복지부·과기정통부·산자부·식의약처)도 함께 참여하여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논의과제를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ㅇ 특위는 ’18.1월부터 1년간 본격 운영되어 4차산업혁명을 선도, 구체화할 수 있는 핵심프로젝트*를 발굴하여 R&D·시장진입·제도개선·인력양성 등을 패키지로 심층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 스마트 헬스케어, 신약·의료기기 혁신, 사회문제해결, 규제·인프라정비
< 헬스케어 특위 구성 분야 >
|
□ 박웅양 특위 위원장은 제1차 회의에 앞서 “의료계에 오랫동안 몸 담고 있던 기초의학자로서, 사람중심의 기술·산업 혁신방안 마련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하여 미래 헬스케어 추진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위원회를 운영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1.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 계획
2.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위원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