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 논의

  • 등록일2017-12-20
  • 조회수3046
  • 발간일
    2017-12-19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 첨부파일
    • hwp 171220 조간 (보도) 4차산업혁명위.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가동.... (다운로드 92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논의

- 국가 전략적 관점의 "헬스케어 선도 프로젝트" 발굴·논의-

 

◈ 헬스케어분야 산·학·연 전문가 21명과 관계부처 합동 참여
 
◈ 4차산업혁명 대응계획(11.30.)에 포함된 △맞춤형 의료, △융합의료기기  △AI기반 신약개발 혁신 등 『스마트의료』이행계획 마련에 집중


□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 이하 ‘위원회’)는 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이하 ‘특위’)를 구성하고 12월 19일(화)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장병규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우수한 의료 인력과 의료기술, 의료-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헬스케어 분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해나갈 잠재력이 충분하고,
 
    * 암생존률, 간이식분야 세계 최고수준 기술력 보유, 전자의무기록보급율 92%
 
 ㅇ 헬스케어는 세계시장의 고속 성장과 파급력있는 융합이 예상되는 분야로 국민 건강 증진·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사람중심 4차 산업혁명 구현이 가능하다.”라고 특위 출범 배경을 설명하였다.
 
    * 전세계 비즈니스 리더 622명 중 45% 4차산업혁명의 가장 큰 수혜분야로
헬스케어를 꼽음(Economist Intelligence Unit, Unit Flash poll, 2016)
 


 
□ 특위는 박웅양 성균관의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맞춤의료·혁신의료기기 등 헬스케어 분야 산학연 전문가 16명과 위원회 위원 5명이 참여하게 된다.(붙임2참고)
 
  ㅇ 또한, 4개 관계부처(복지부·과기정통부·산자부·식의약처)도 함께 참여하여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논의과제를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ㅇ 특위는 ’18.1월부터 1년간 본격 운영되어 4차산업혁명을 선도, 구체화할 수 있는 핵심프로젝트*를 발굴하여 R&D·시장진입·제도개선·인력양성 등을 패키지로 심층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 스마트 헬스케어, 신약·의료기기 혁신, 사회문제해결, 규제·인프라정비

 

< 헬스케어 특위 구성 분야 >

 

 

 

 

 

 

 

 

 

 

 

 

산업계 : 제약, 의료기기 등

학계 : 임상, 기초, 치매, 감염병 등

연구계 : 산업정책, 보건의료 제도

관계부처(참석) : 복지(간사)?과기정통(간사)?산업?식약

4차 산업혁명위원회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 박웅양 특위 위원장은 제1차 회의에 앞서 “의료계에 오랫동안 몸 담고 있던 기초의학자로서, 사람중심의 기술·산업 혁신방안 마련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하여 미래 헬스케어 추진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위원회를 운영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1.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 계획
      2.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위원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