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미래를 선도하는 고위험고부가가치 융합연구 지원”
- 등록일2018-01-04
- 조회수3009
-
발간일
2018-01-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융합연구#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4차산업혁명
- 첨부파일
“미래를 선도하는 고위험·고부가가치 융합연구 지원”
- 과기정통부, 2018년「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신규 추진 -
◇ 4차 산업혁명 대응 과학기술 역량 강화와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고위험(High Risk)·고부가가치(High Impact) 원천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지원
◇ 미래선도기술개발 신시장창출형 사업 2018년도 신규과제(先기획연구) 선정계획 공고 중(현안해결형 사업은 3월 중 공고예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18~’21년 252억원/’18년 46억원)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사업은 신시장창출형 사업(’18년 30억원)과 현안해결형 사업(’18년 16억원)으로 나누어 추진되며, 도전적·혁신적 연구를 지원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미래사회를 선도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ㅇ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가 지난 해 발표한 ‘R&D 기획-수행-성과관리’ 전 주기에 걸친 혁신적 방법*을 적용할 계획이다.
*「과제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혁신방안(과기정통부)」(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17.11)
□ 먼저, 신시장창출형 사업은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융합 신산업·신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하며, 창의적·혁신적 연구개발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주제를 제안하는 상향식(bottom-up) 연구로 진행할 계획이다.
ㅇ 또한, 개방형 크라우드(Open Crowd) 방식*을 통해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공동으로 기획하고, 공공·민간협업(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을 기반으로 연구단을 구성하며, 본연구 진입 에는 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온라인 상시 홈페이지·오프라인 공청회/간담회 등을 통해 공동으로 연구를 기획하는 방식
** 상용화 촉진 및 연구개발 책임성 강화를 위해 기업부담비율 상향 조정
: (중소기업) 본연구Ⅰ25%, 본연구Ⅱ 35%, 상용화 50%, (중견기업) 본연구Ⅰ·Ⅱ 40%, 상용화 50%
ㅇ ’18년에는 선(先)기획연구 10개 내외(각 1억원 이내)를 선정하고, 하반기 평가를 거쳐 본연구단계에 진입하는 4개 과제(연 10억원 내외)를 선정·지원하며, ’21년에는 최종 2개 내외 과제가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게 되는 경쟁형 R&D 방식(토너먼트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 과제기획, 연구개발 단계별로 중간 평가를 통해 일부가 탈락
□ 또한, 현안해결형 사업은 복잡한 사회문제(고령화, 재난재해 등) 해결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사업으로, 공공·민간 협업을 통해 시급히 해결이 필요한 2개 분야를 도출*하여 상향식(bottom-up) 연구로 진행할 계획이다.
* 기술수요조사·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및 국민생활과학자문단에서 발굴·제안한 과제 등 기반
ㅇ 수요자 참여형 문제해결 시스템 개발 및 실증을 위해 부처협업 및 리빙랩*(Living Lab) 방식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며, 실증단계에서 타부처 또는 민간과의 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이 연구개발 기획·개발·실증과정에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개방형 혁신 모델
ㅇ ’18년에 2개 지원분야를 선정하여 분야 당 2개 내외, 총 4개 내외 연구단(6개월, 4억원)을 지원하고, ’19년에는 이 중 2개 연구단을 선정하여 본연구 2단계 지원(2년, 연 10억원 내외), ’21년도에는 실증을 지원하는 경쟁형 R&D 방식(병렬형*)으로 추진한다.
* 동일한 연구목표로 서로 다른 접근방식의 과제를 각각 수행하고 중간평가 결과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여 지속 지원
□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은 민간이 스스로 도전하기 어려운 고위험·고부가가치 연구를 지원하고 수요자-연구자 간 협업을 통해 미래를 선도하기 위한 사업”이라며,
ㅇ “연구현장에 혁신적·도전적 연구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이번 사업성과를 토대로 향후 사업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한편, 신시장창출형 사업은 ’17. 12월 공고*를 시작으로 ’18. 1. 29.(월) 18시까지 신청을 받을 계획이며, 현안해결형 사업은 분야 도출을 통해 ’18. 3월 중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홈페이지(www.msit.go.kr) 및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 참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