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모태펀드, 총 6,180억원 출자로 약 1.2조원의 자펀드 결성 추진

  • 등록일2018-02-22
  • 조회수3126
  • 발간일
    2018-02-22
  •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모태펀드#자펀드
  • 첨부파일

 

모태펀드, 총 6,180억원 출자로 약 1.2조원의 자펀드 결성 추진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한국벤처투자(대표 주형철)는 ‘18.2월 중기부 4,350억원 등 총 6,180억원*에 대한 모태펀드 출자사업을 진행하고 약 1.2조원(1조 1,659억원)의 벤처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 중기부 4,350억원 출자 → 8,608억원 펀드 조성,  문화부?복지부?특허청 등 1,830억원 출자 → 3,051억원 펀드 조성

 

□ 중소벤처기업부는 펀드별로 40~80%의 매칭 비율로 총 4,350억원을 출자할 계획으로 주요 출자분야는 다음과 같다. (상세분야 : 별첨)

 

 ㅇ 향후 3년간 10조원의 혁신모험펀드 조성 계획에 따라, 혁신모험펀드(창업초기펀드 및 혁신성장펀드*)에 2,800억원을 출자하고 5,600억원의 펀드를 결성함으로써 기업의 성장단계별 투자를 촉진

     * 혁신모험펀드 중 성장단계에 중점 투자하는 혁신성장펀드는 펀드별 최소 자펀드 결성규모를 700억원으로 설정하여 대규모 후속투자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

 

 ㅇ 총 1,920억원의 혁신성장펀드(1,120억원)와 민간제안 펀드(800억원)는 민간이 투자분야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여 민간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

 

 ㅇ 사회문제 해결을 추구하면서 혁신?성장성을 보유한 소셜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소셜임팩트펀드를 처음 도입하고, 우선적으로 500억원을 출자하고 향후 300억원을 추가 출자하여 총 800억원 출자로 1,000억원 규모의 소셜임팩트펀드 조성


□ 이번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출자사업은 민간의 자율성을 확대한다는 운용취지*에 따라,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민간 중심의 벤처생태계 혁신대책(‘18.1.31.)을 통해 발표

 

 ㅇ (사업방식) 기존의 경직적인 출자방식(연 2회)을 탈피하여, 이번 2월 출자사업(4월 선정) 이후의 잔여 예산은 매월(7일까지) 민간의 제안을 접수받아 출자함으로써 민간의 펀드 결성수요에 적기에 대응

 

 ㅇ (출자방식) 민간이 기 결성?운용 중인 펀드의 경우에도, 정책목적성에 부합할 경우 모태펀드가 후행(40% 이내) 출자

 

 ㅇ (보수체계) 민간이 일정 범위*에서 관리?성과보수를 맞춤형으로 설계토록 허용하여, 성과 중심의 펀드운용을 촉진

     * 관리보수를 0.1%p(최대 0.5%p) 하향 시 성과보수를 2%p(최대 10%p) 상향 가능

 

 ㅇ (지분이양) 민간출자자에 모태펀드 지분을 이양하는 콜옵션을 최대 50%(기존 20%)까지 확대하여 성과에 대한 보상을 부여

 

□ 이번 모태펀드 출자사업 공고문은 한국벤처투자 홈페이지(www.k-vic.c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2.21(수) 게재), 운용사 모집 등 벤처펀드 조성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다.

    * 일정 : 접수 ~3.14, 선정 4월말, 펀드 결성시한 7월말

 

□ 박용순 벤처투자과장은 “이번 모태펀드 출자는 후행?증액 출자, 수시출자, 민간제안 도입 등 과거 운용방식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운용되는 첫해”라면서 “벤처투자가 창업?벤처기업의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산업 육성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별첨 : ‘18.2월 모태펀드 출자사업 주요분야 및 규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