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 포털(NTIS),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

  • 등록일2018-03-13
  • 조회수3396
  • 발간일
    2018-03-12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NTIS#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이용자 중심
  • 첨부파일
    • hwp 180313 조간 (보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 이용 더 쉬워진다(국가... (다운로드 11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 이용 더 쉬워진다!!

-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 포털(NTIS),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의 접근성과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3월 12일부터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이용자 중심으로 새롭게 개편하여 오픈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개편은 이용자 경험과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복잡한 메뉴의 단순화, 정보 검색의 정교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강화 등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NT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과학기술 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 (www.ntis.go.kr)

 

□ 먼저, 이용자들이 이용 목적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더욱 수월하게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하였다.

 

< 복잡한 메뉴체계 단순화 >

 

ㅇ 기존 이용자 유형별(일반, 대학·출연연, 기업, 부처·전문기관) 제한된 서비스제공 방식에서, 업무 활용도가 높은 공통서비스 중심의 메뉴 구성으로 서비스 접근 경로를 단순화하였다.

ㅇ 또한, 중복 제공된서비스(메뉴)는 통합 재분류하고,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전면에 배치, 개인 메뉴 설정 및 이력정보 관리 등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강화로 이용자 편의성을 강화하였다.

 

 

< 권한 신청·관리 간소화 >

 

ㅇ 이용자 유형별, 서비스별 권한 신청·관리를 모두 일원화하여 회원이면 누구나 ‘통합권한 요청 메뉴’에서 권한 신청으로 전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였다.

 

 

< 검색 편의성 강화 >

 

ㅇ 서비스별 분산되어 있던 검색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고,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강화하였다.

 

- 통합검색 환경 제공, 다양한 검색 필터 및 상세검색 기능 추가, 검색결과 다운로드 확대(한번에 10,000건까지) 등 검색 성능 개선 및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 국가R&D 기획·관리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였다.

 

 

< 국가R&D 사업 전주기 정보 수집·연계 확대 >

 

ㅇ 과학기술 분야 중장기계획 정보를 신규 수집하고 국가R&D 사업 정보와 연계하여, 국가R&D 사업 계획 단계부터 평가 단계까지 전체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전주기 정보 범위 : 중장기계획?사업타당성?사업예산?사업집행?사업평가

 

< 범부처 국가R&D 공고정보 서비스 개선 >

 

ㅇ 연구자가 국가R&D 사업 공고 정보를 적시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국가R&D 공고 정보 표준화 항목*을 추가하고, 키워드 기반 상세 검색(공고 본문 및 첨부파일 내용까지 검색) 등 기능을 보완하였다.

  ? 중복 수집 항목 재정리, 공고유형·공고금액 규모 등 표준화 정보 추가

 

□ 이번 NTIS 서비스 개편시 이용자 사전 모니터링단으로 참여한 중소기업연구원 김진만 연구원은 “기존의 복잡한 메뉴구조를 단순화하여 이전 보다 세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ㅇ 한국과학기술원 이남우 연구원은 “검색 편의 기능을 강화하여 원하는 자료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등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 과기정통부 이태희 성과평가정책국장은 “이번 NTIS 서비스 개편을 통해 이용자의 정보 접근 편의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민 누구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