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인간의 이해, 사회문제 해결 및 미래 대비를 위한 뇌연구
- 등록일2018-03-26
- 조회수3291
-
발간일
2018-03-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연구#인간의 이해#사회문제 해결 #미래 대비
- 첨부파일
인간의 이해, 사회문제 해결 및 미래 대비를 위한 뇌연구
-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26일(월) 14시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안) 2차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공청회는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 산·학·연·병 등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하였다.
※ 참석 : 관련 부처, 뇌연구 관련 연구기관, 학회 및 연구자 등 약 100여명
ㅇ 과기정통부에서 제3차 기본계획안의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기획위원회 총괄위원장을 맡았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왕규창교수가 기본계획안에 담긴 주요 연구개발(R&D) 내용을 소개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는 뇌연구촉진법에 의거하여 1998년부터 관련 부처(과기정통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의 뇌연구 촉진계획을 종합·조정하여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해 오고 있다.
ㅇ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안은 그동안 제2차 기본계획(’08~’17)을 통해 확보된 국내 연구역량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ㅇ “뇌에 대한 근본적 이해와 이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 및 미래사회대비“라는 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ㅇ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R&D, 제도·인프라 및 사업화 분야에서 총 6개 중점과제*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뇌에 대한 근본적 이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뇌 실현, 4차 산업혁명 대응 창의적 뇌연구, 뇌과학 발전을 뒷받침하는 인프라 혁신,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기술·창업 중심의 뇌산업 육성
□ 기본계획(안)은 50여명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위원회*에서 작성되었으며, 그동안 뇌연구포럼 및 1차 공청회, 홈페이지, 출연기관 및 기업체 간담회 등을 통하여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였다.
* 6개 분과 : 4대 분야별 R&D분과, 생태계·인프라 분과, 산업화 분과
ㅇ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되는 의견을 검토?반영하여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바이오특별위원회 및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 상정하여 2분기 중에 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는 “뇌에 대한 근원적 이해에 도전하고, 치매 극복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 기술을 개발·제공하여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뇌과학 강국을 실현하기 위해 제3차 기본계획을 적극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