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공동학술조사 실시

  • 등록일2018-05-29
  • 조회수3683
  • 발간일
    2018-05-2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다양성
  • 첨부파일
    • hwp 180528 조간 (보도)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공동학술조사... (다운로드 17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공동학술조사 실시

-전국 55개 생물다양성기관 공동, 제주특별자치도 추자도 일대 생물다양성자원 발굴 및 정보화 활동 수행 -

 

□ 국립중앙과학관(관장 배태민)은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사무국(KBIF)**이 운영하는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공동학술조사를 5월 28일(월)부터 6월 1일(금)까지 4박5일 동안 제주특별자치도 추자도 일대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 GBIF(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 2000년 OECD에서 승인 설립된 국제기구로, 현재 총 94개 국가·기관·국제기구의 회원을 통해 약 9.8억 건의 전 세계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음. 한국은 2001년 정회원 국가로 참여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부대표이며 한국사무국은 국립중앙과학관이 담당함.

** KBIF(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 GBIF의 한국사무국으로 국내 55개 생물다양성(자연사) 유관기관 협력망(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을 구축하여, 생물다양성(자연사) 관련 실물 및 정보의 확보와 관리, 활용 등의 사업을 운영함.

 

□ 이번 공동학술조사*에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문화재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공립 및 사립기관 소속 85여명의 생물다양성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상추자도, 하추자도, 횡간도, 추포도 일대 조사팀으로 나누어 각 분류군별 분류학적 연구와 지역별 생물상, 행동권, 서식생태 등의 연구를 통해 종 다양도 및 생명정보를 확보할 예정이다.

* 공동학술조사는 전국을 10개 권역으로 나눠 장기적 정보 수집을 통한 생물상 변화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해양생물과 육상생물을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지역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있음.

 

□ 추자도는 제주시에서 가장 북쪽 제주해협에 위치한 군도로, 주 섬인 상추자도와 하추자도가 추자대교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횡간도, 추포도를 포함한 4개의 유인도, 38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해역을 거쳐오는 쿠로시오 난류의 한 지류인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겨울에도 해수의 온도가 많이 낮지 않고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나 2003년 이후 종합적인 학술조사는 없었다.

 

□ 이번 공동학술조사의 단장을 맡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정세호 관장은 “제주특별자치도 추자도 일대는 한반도와 제주도의 중간지점으로 생물의 진화과정을 밝히는 중요한 지역이지만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생물상 종합조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라고 하고,

ㅇ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장인 국립중앙과학관 배태민 관장은 “이번 공동조사를 통해 한반도 및 제주도 자생종과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선정된 조사지역을 중심으로 향후 지속적인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수집된 표본 및 관찰 정보는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운영·관리하고 있는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NARIS) 뿐만 아니라,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시스템(KOBIS),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www.gbif.org) 등을 통해 국내외에 서비스되고 있으며, 연구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수목원이 공동 발행하며 스코퍼스(SCOPUS) 등재지인 아태지역 생물다양성 전문학술지(JAPB)*에 게재되고 있다.

* JAPB(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 ’08년 ?Journal of Korean Nature?로 창간 되어, ’13년 JAPB로 명칭을 변경하여 국내 지역성을 탈피하고 국제논문 접수를 시작함. 현재까지 총 11권1호(연4회 발행)로 45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ScienceDirect(국제과학기술연구자료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 내려받기 서비스하고 있음.

 

□ 한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생물다양성의 실물과 정보의 지속적인 발굴·확보, 체계적 보존·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07년 16개 기관으로 출범하였으며,‘18년 5월 현재 총 55개 기관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