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서울, 포항, 김천 등 6개 기관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A등급 획득

  • 등록일2018-11-26
  • 조회수3054
  • 발간일
    2018-11-25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지역거점공공병원#운영평가#운영평가 A등급 획득
  • 첨부파일
    • pdf [11.26.월.조간]_서울_포항_김천_등_6개_기관_2018년_지역거점공... (다운로드 7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서울, 포항, 김천 등 6개 기관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A등급 획득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1월 26일(월)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결과를 발표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 지방의료원(34개) 및 적십자병원(5개)을 대상으로 ’06년부터 매년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는 지역거점공공병원(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익적 서비스를 강화하며, 효율적이고 투명한 운영으로 지역거점공공병원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운영 평가는 ①양질의 의료 ②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 ③합리적 운영 ④책임운영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 평가는 전산자료 조사(심평원, 건보공단 등), 서류조사(결산서), 전문기관의 설문조사와 현지조사, 면접평가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올해도 평가수행기관은 공모를 통해 국립중앙의료원(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이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현지평가단으로 권역별 국립대학병원, 시·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연구기관, 학계, 시민단체 등이 함께 참여케 하였다.

 

□ 평가결과, 서울·공주·홍성·포항·안동·김천의료원 6개 기관이 A등급을 차지하였다.

 

 ○ 전체 평균은 75.2점이며, 등급별로는 A등급(6개소), B등급(27개소), C등급(5개소), D등급(1개소)이다.

    * 등급구분은 A등급(80점 이상), B등급(70점 이상), C등급(60점 이상), D등급(60점 미만)으로 절대평가

   - ‘06년 첫 평가실시 이후 평균 점수는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 (‘06년) 61.3점 → (‘07년) 67.4점 → (‘09년) 70.3점 → (‘11년) 69.7점 → (‘13년) 69.6점 → (’14년) 70.9점 → (’15년) 72.1점 → (’16년) 72.6점 → (’17년) 75.3점

 

 ○ ‘18년 평가는 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 중 지역별특화서비스 점수 (78.0점→82.7점)가 상승하였으며, 책임운영점수가 소폭 하락하여,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점수가 유지되었다(0.1점 하락).

 

□ 우수기관 3개소와 개선기관 2개소 점수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우수기관은 전체 기관 중 1등, 2등, 3등을 획득한 기관이며, 개선 기관은 ‘17년 B등급에서 ’18년 A등급으로 상승한 기관

    * 우수기관 및 개선기관은 제1회 공공의료페스티벌(11.26)에서 복지부 장관상 수여

 

 ○ (우수) 서울의료원은 일반진료서비스 적정의료인력 운영, 의료서비스 제공률(RI), 의료서비스 포괄성(RDRG)이 상위점수, 병원별 특화서비스 향상, 지역주민대표 참여 위원회 운영 개선, 환자고충 및 제안처리 만족도(63.1→72.1점)가 향상되었다.

 

 ○ (우수) 포항의료원은 일반진료서비스 적정의료인력 운영 상위점수, 주사제처방률이 개선되었으며, 환자만족도(89.6→90.0점), 직원만족도(82.5→85.7점), 리더십만족도(82.3→87.0점) 등 내·외부만족도가 향상, 정보공개(통합공시 등)가 개선되었다.

 

 ○ (우수) 김천의료원은 일반진료서비스 적정의료인력 운영, 의료서비스 제공률(RI) 상위점수, 표준진료지침 운영이 개선되었으며, 환자만족도(85.3→85.9점) 향상, 전년대비 외래환자가 증가하여(24만 3000명→24만 5000명) 합리적 운영 개선, 지역주민대표 참여 위원회 운영 개선, 고충 및 제안 만족도(직원고충(72.2→76.5점), 환자고충(71.6→77.9점))가 향상되었다.

 

 ○ (개선) 안동의료원은 일반진료서비스 적정의료인력 운영 상위점수, 적정재원기간(ELI/CMI) 개선되었으며, 병원별 특화서비스 향상, 전년대비 외래?입원환자 모두 증가하여(입원:6만 5000명→7만 1000명, 외래 :16만 3000명→18만 명), 병상이용률(84.8→88.1%), 의료수지비율(91.6→93.6%), 경상수지비율(99.1→101.4%) 향상으로 합리적 운영이 개선되었으며,  노사협의회 구성 및 운영이 개선되었다.

 

 ○ (개선) 공주의료원은 일반진료서비스 의료서비스 제공률(RI), 의료서비스 포괄성(RDRG) 상위점수, 필요진료시설 운영 개선, 환자만족도(86.3→88.8점)가 향상하였으며, 전년대비 외래·입원환자 모두 증가하여(입원:5만 7000명→7만 4000명, 외래:11만 2000명→14만 7000명), 병상이용률(72.4→81.1%), 의료수지 비율(86.1→92.1%), 경상수지비율(95.3→100%) 증가로 운영이 합리적으로 개선되었다.

 

□ 보건복지부 정준섭 공공의료과장은 “지역거점공공병원이 2차 급성기 진료(응급, 심뇌혈관, 분만 등) 등 양질의 적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의 의료안전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공공병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기반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아울러, “2018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결과를 각 지자체와 해당 기관에 통보하여 미흡한 부분은 개선토록 할 것이며,

   - 평가결과를 국고예산 배분 시 차등 지원하는 등 지역거점공공병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개요 및 결과(요약)
           2. 평가절차 및 평가체계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