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기후변화’ 식물 개화.곤충 발생.조류 이동에 영향

  • 등록일2018-11-29
  • 조회수2977
  • 발간일
    2018-11-29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무인생물자동관측시스템#기후변화#식물 개화#곤충 발생#조류 이동
  • 첨부파일

 

 

‘기후변화’ 식물 개화?곤충 발생?조류 이동에 영향
- 농촌진흥청, 무인생물자동관측시스템 구축해 자료 수집 -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농업 생태계에 출현하는 식물과 곤충, 조류의 변동 양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무인생물자동관측시스템’을 구축하고, 위도별 4개 지역(강원 철원·충남 당진·전북 부안·전남 해남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무인생물자동관측시스템은 일정 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생물의 변화를 관찰하는 시스템입니다. 시스템은 전원 공급과 촬영 장치, 전송 모듈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 1단계 사업(2012~2016)을 통해 4개 지역에 19세트의 관측 장치를 설치하고 10분 간격으로 촬영된 영상을 1개월에 한 번 수거해 분석했습니다. 2단계 사업(2017~2018)에서는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연구실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보완했습니다.


□ 이 시스템을 활용해 4년 간(2015~2018) 4개 지역의 논을 관찰한 결과, 많은 생물이 각 지역의 기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농경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서양민들레의 꽃 피는 시기는 3월 평균 기온이 높은 곳에서 빨랐으며, 남쪽인 전남 해남과 중북부인 강원 철원이 24일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또한, 3월 평균 기온이 1℃ 오르면 꽃 피는 시기도 6일가량 당겨지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 전국 논에서 관찰되며 모기 유충의 천적으로 알려진 잔물땡땡이는 2월~4월 평균 기온이 높은 지역일수록 빨리 발생했으며, 전남 해남과 강원 철원이 최대 48일 차이를 보였습니다. 2월~4월 평균 기온이 1℃ 올라가면 약 8일 빨리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논에 나타나는 대표 조류인 백로류를 관찰한 결과, 4월 중순부터 10월 상순에 걸쳐 모습을 보였으며, 개체 수는 일 최저 기온, 평균 기온, 최고 기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와 함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2종(황새, 저어새), Ⅱ급 5종(큰고니, 큰기러기, 뜸부기, 재두루미, 흑두루미) 등 총 77종의 조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농촌진흥청은 이렇게 축적된 영상 자료를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의 계절 변동 양상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장은숙 과장은 “무인생물자동관측시스템은 농업 생태계에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