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미래 신산업 발굴 위한 ‘식물공장’ 현장 방문

  • 등록일2018-12-04
  • 조회수3176
  • 발간일
    2018-12-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식물공장#지능형 식물공장#미래 신산업 발굴
  • 첨부파일
    • hwp 181204 조간 (보도) 미래 신산업 발굴 위한 식물공장 현장 방문(... (다운로드 12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미래 신산업 발굴 위한 ‘식물공장’ 현장 방문

- ‘지능형 식물공장’을 주제로 중소기업 방문, 전문가 간담회 개최 -

- 현장 애로사항 청취 및 민-관 협업방안 논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12월 3일(월) 오후, 농업회사법인 ㈜미래원(경기도 평택시 소재)을 방문하여 ‘지능형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간담회는 ‘국가 R&D 혁신방안’ 수립(’18.7월) 및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신설(’18.11월)에 따른 미래 신산업 발굴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식물공장(Plant Factory)*이란 통제된 시설 내에서 빛, 온도, 습도 등의 환경조건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식물을 맞춤형으로 대량 생산하는 체계로,

 

* 수직 농장(Vertical Farm), 도시 농업(Urban Farming) 등의 용어로도 사용

 

ㅇ 기후변화, 나고야의정서 발효로 인한 식량안보 위협, 전 세계적인인구증가, 도시화에 따른 농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세계경제포럼(WEF)은 도시 농업(Urban Farming)을 10대 도시 혁신기술로 선정 (Top Ten Urban innovations, WEF, 2015)

 

□ 또한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기술에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을 접목하는 등 바이오,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하는 신산업 분야로,

 

ㅇ 기능성 천연물을 재배하여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는 경우 높은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

 

※ (천연물 관련 글로벌 시장) 천연물의약품 : ‘11년 187조원 → ’23년 423조원(LP Information, ’15) / 건강기능식품 ‘15년 131조원 → ’20년 187조원(Nutrition Business, ’15) / 화장품 : ‘15년 374조원 → ’20년 513조원(보건산업진흥원, ’15)

 

□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현장을 방문하여 식물공장의 현황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산업계·연구계 전문가들과 지능형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민관의 역할 및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ㅇ 현장에서는 우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에서 진행 중인 식물공장 관련 연구 동향 및 유관 기업들의 산업화 현황이 소개되었고,

 

ㅇ 기능성 천연물 재배를 위해 투자 의향이 있는 기업과 연구 역량을 갖춘 연구소 간 공동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ㅇ R&D와 병행하여 인·허가 지원, 제도 개선, 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 방안도 같이 논의되었다.

 

□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식물공장에 대한 육성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 유영민 장관은 “모든 산업이 지능화되고 패러다임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바이오와 ICT가 융합된 지능형 식물공장이 유망 신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라고 강조하면서

 

ㅇ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는 기반을 조성하는 혁신성장 추진을 위해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중심으로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