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9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발표

  • 등록일2019-01-04
  • 조회수3624
  • 발간일
    2019-01-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R&D#2019년도 #투자#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 hwp 190102 조간 (보도) 2019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nD사업 종합시행... (다운로드 11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미래유망 분야에 대한 연구자 중심 연구 지원 및
건강한 연구문화 조성으로 신뢰도 제고

 - 과기정통부, 2019년 4조 3,149억원 규모 R&D 투자 방향 확정 -



 ◇ 연구자 주도 자유공모연구 확대(전년 대비 2,288억원 증액된 1조 2,006억원), RFP 공모제 신설 등

     연구자 중심의 도전적·자율적 R&D 강화
 ◇ 바이오(3,952억원), 첨단융합기술(1,660억원), 소프트웨어·인공지능(1,466억원) 등 미래유망 기술 지원 강화
 ◇ 건강한 연구문화 조성을 위한 연구윤리 거버넌스 확립 및 연구기관 책임 강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4조 3,149억원 규모의 2019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

 ㅇ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기정통부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7조 1,998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과학기술 분야 3조 3,996억원, 정보통신(ICT) 분야 9,153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 △기초연구(12,114억원), △원천연구(14,272억원), △ICT 연구개발(7,190억원), △R&D 사업화(1,609억원),

     △인력양성(1,820억원), △R&D 기반조성(6,144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 2019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ㅇ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건강한 연구문화 및 선진 연구행정 정착방안(안)’, ‘ICT R&D 혁신전략’ 등 최근 과학기술?ICT

    정책에 발맞추고, 재난?안전?환경 등 사회문제 전 영역에서 과학기술?ICT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 △연구자 중심의 R&D 지원 강화, △과제관리 개선 및 건강한 연구문화 조성으로 신뢰도 제고, △혁신성장 선도 사업

     및 미래유망 기술 지원 강화, △R&D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제고 △핵심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 기반

     조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 중심의 R&D 지원 강화 


□ 연구자의 자율·창의성 극대화를 위해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예산을 전년 대비 2,288억원 증액된 1조 2,006억원을 투자한다. 
   * (과기정통부 소관) 개인?집단연구: (’18) 9,718억원 → (’19년) 1조 2,006억원(23.5%증)


 ㅇ 우수 연구자가 연구에 필요한 실질 연구비를 지원받고, 최고 수준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리더/중견연구에

     유형2*를 신설하고, 우수한 신진연구 수행자는 상위사업**(중견연구)으로 연계한다.
    *  리더 유형2: 연 8-15억(5년), 중견 유형2: 연평균 2억원 초과 4억원 이내(1-5년)
    ** 종료과제 중 우수연구는 중견연구(유형1)로 연계지원(신청과제의 30% 내외)

 

 ㅇ 또한, 연구 단절 방지 및 안정적 연구지원을 위해 생애기본연구 지원체계를 신설하여 장기·안정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기본연구*와 연구공백 최소화 및 우수성과의 지속적인 창출을 위한 재도약 연구**를 지원한다.
     *  1~3년간 연평균 0.5억원 이내 연구비 지원
     ** 1년간 연 0.3억원/0.5억원 연구비 지원


□ ICT분야도 연구자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반영할 수 있는 ‘RFP 공모제’를 신설하고,

 ㅇ 다수 연구자의 기획 참여 촉진을 위해 과제기획위원회 구성 시 공모비율을 55% 이상으로 높이는 등 연구자 친화적인 R&D 기획 프로세스로 개편한다.


 혁신성장 선도 사업 및 미래유망 기술 지원 강화


□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미래유망 원천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ㅇ 혁신신약 발굴, 정밀 의료 및 인공지능 신약 플랫폼 구축 등 국민 건강에 직결된 바이오헬스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로

     미래 신산업 동력을 육성하고,

    * 바이오 분야 예산: (’18) 3,745억원 → (’19) 3,952억원(5.5%증)
    * 혁신신약 파이프라인 발굴사업(신규 80억원)
    * 오믹스기반 정밀의료 기술개발사업(신규 60억원)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신규 50억원)


 ㅇ 나노?소재 분야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 돌파 기술과 새로운 원천기술 개발 지원 등을 확대한다. 
   * 나노?소재분야 예산: (’18) 1,072억원 → (’19) 1,106억원(3.2%증)
   *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18) 492억원 → (’19) 494억원(0.4%증)
   *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지원사업: (’18) 291억원 → (’19) 318억원(9.3%증)

 

 ㅇ 또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향후 기후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도전적 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 기후변화 분야 예산: (’18) 1,176억원 → (’19) 1,411억원(20%증)
   * 기후변화 대응기술 개발: (’18) 866억원 → (’19) 906억원(4.6%증)
   * 기후기술협력 기반조성(신규 10억원)
   * 에너지클라우드 기술개발(신규 40억원)

 

 ㅇ 친환경 수소 생산?저장 및 이용 등 수소에너지 전주기에 걸친 차세대 기술개발도 신규 지원한다.
   * 수소에너지 혁신기술개발(신규 102억원)
   *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연료전지)(108억원)


□ 한편, 우주 발사체 자력 개발과 독자 위성기술 확보, 체계적 우주산업 기반 조성을 통한 성과 확산을 추진하며,
  * 우주개발기반조성 및 성과확산(40.2억원)


 ㅇ 원자력안전,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 원전 해체 핵심기술 개발 등 현안해결에 기여하는 R&D 지원을 강화한다.

  * 원자력안전 ?해체 연구 및 인력양성(557억원)
  * ICT기반 원자력안전 혁신기술개발 사업(신규 26억원)


□  아울러, 기술개발 실패 위험성이 크고 불확실성이 높은 ICT 분야에 대해 기술축적 및 선도가 가능하도록

    고위험·도전형 R&D를 확대하며,

  * 계속과제 중 총 70개(창조씨앗 2단계 41개, ICT 기초연구실 29개)를 전문연구실(10년 이상)로 개편

 

 ㅇ 우수한 과학기술 연구 성과를 ICT R&D로 후속 지원하는 ‘연계형 R&D’도 도입하여 과학기술-ICT-시장으로 이어지는

     R&D 선순환 구조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